•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계절이 바뀌면서 겨울철 입었던 패딩 점퍼, 코트 등 겨울 의류 세탁을 위해 세탁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22.1.1.~2024.12.31.)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 접수된 세탁서비스 피해구제 신청 4,855건*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겨울철 의류 정리를 위해 세탁서비스를 이용한 후인 5월(569건, 11.7%), 6월(507건, 10.5%)에 피해구제 신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 신청 건수는 4월(401건) 대비 41.9% 증가해 이 시기에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탁서비스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
 * 최근 3년간 피해구제 신청 건수 : (’22년) 1,814건 → (’23년) 1,731건 → (’24년) 1,310건

☐ 세탁 후 외관 훼손, 색상 변화, 얼룩 발생 등 다양한 하자 발생해  
  
하자 내용으로는 열에 의한 훼손, 마모, 부자재 훼손 등 ‘외관 훼손’이 21.2%(1,028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탈색, 변색 등 ‘색상 변화’ 17.6%(855건), 이염, 오염 등 ‘얼룩 발생’ 16.8%(813건), 수축, 경화 등 ‘형태 변화’ 14.7%(71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탁물의 ‘분실’(4.5%, 220건)도 다수 발생하고 있어 세탁의뢰 시 분쟁 발생에 대비해 인수증에 세탁물의 품명과 수량 등을 기재하고 잘 보관할 필요가 있다.

☐ 피해 원인 및 책임 소재 판단이 필요해
  
세탁서비스 이용 후 제품이 훼손되었을 때 그 원인이 세탁사업자의 세탁 과실이거나 제품 자체 불량 등 제조‧판매업자의 과실일 수도 있다. 또한, 제품 수명 경과로 인한 자연 손상, 소비자 취급 부주의 등의 경우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품 구입시기, 손상 상태 등을 확인·점검해보고 섬유제품심의위원회* 등 심의기구를 통해 하자 원인 및 책임 소재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 제품 수명 경과로 인한 자연 손상, 소비자 취급 부주의 등 사업자 책임이 없는 경우가 42.9%,  제조판매업자 책임이 31.9%, 세탁사업자 과실이 25.2%로 나타남.(‘세탁분쟁, 절반 이상이 세탁 과실 또는 제품 불량’, 2024. 11. 8, 한국소비자원)

 *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 발생 시 책임 소재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의류, 피혁제품, 세탁서비스 등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한국소비자원이 운영)

☐ 사업자와 함께 확인하고 인수증을 꼭 보관하며, 제품 수령 후 바로 확인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세탁서비스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 세탁의뢰 시 의류의 상태를 세탁사업자와 함께 꼼꼼히 확인하고 품목, 수량 등을 기재한 인수증을 꼭 받아서 보관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 완성된 세탁물은 신속하게 회수하고 하자 여부를 즉시 확인할 것, ▲ 세탁 후 피해가 발생했을 때는 지체없이 세탁사업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것, ▲ 내용연수*가 경과된 의류는 제품 자체의 노화로 인해 세탁 시 변형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 제품의 ‘수명’을 말하며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 품목별 내용연수를 정하고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사)세탁업중앙회와 세탁서비스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캠페인을 추진하는 등 협력해왔으며, 앞으로도 인수증 미교부, 사전고지 미흡 등의 영업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25-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62 장애인 보조견, 어디든 함께 갈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8
14861 체력단력장·수영장 사업자 대상으로 체육시설 이용료 소득공제 제도를 안내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9
14860 단말기유통법 폐지에 따른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등 개정 절차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10
14859 유류세 한시적 인하 일부 환원 및 2개월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12
14858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보험사기 제보가 보험사기 근절의 시발점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7
14857 ’25년 1분기 전국 지가 0.50%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7
14856 국세청에서 알려드리는 학자금 의무상환 꿀팁, 나에게 맞는 상환 방법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17
14855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8
14854 편의점-납품업체 간 거래관행 개선을 위한 동의의결 최종 확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6
» 세탁 맡길 때 인수증 챙기고 제품 받으면 바로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7
14852 3월 연간 이용약관 변경으로 OTT서비스 소비자상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1
14851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매년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3
14850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보험사기 제보가 보험사기 근절의 시발점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6
14849 금융분쟁조정위원회,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손실 배상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6
14848 “기관의 잘못으로 8년간 덜 받은 급여”… 소멸시효 이유로 일부만 주는 것은 ‘가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6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011 Next
/ 10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