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내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현황을 조사한「2022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요양병원 전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자가 설문조사 참여기관 중 무작위로 선정된 140개 표본기관에 대한 현장 방문조사 결과이다. 


  이는 2018년 자가 설문조사 방식의 의료관련감염 실태조사 이후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전문조사위원에 의한 현장조사 기반의 첫 번째 조사결과이다.



<2022년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개요>


○ (조사근거) 「감염병예방법」 제17조 및 시행규칙 제15조

○ (조사대상) 국내 요양병원 전수 및 현장 표본조사기관 140개소

○ (기간 및 방법) 2023년 1월 18일 ~ 4월 28일, 온라인 자가 설문조사 및 현장 방문조사

○ (조사내용) 감염관리체계 및 인력, 손위생 및 주사실무,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활동, 의료기구 및 시설·환경 관리 등 감염관리 8개 영역  

○ (결과분석) 현장 표본조사 결과 기반 모수 추정,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7.87%p

○ (수행기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실태조사에서는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현황 및 장애요인 파악하기 위해 감염관리체계 및 활동, 시설 및 환경관리 등 전반적인 감염관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감염관리 지원 정책 수립 및 평가의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2022년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염관리 조직 및 운영체계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계획과 시행에 대한 의사결정기구인 감염관리위원회 구성 96.9%, 의료관련감염 감시 및 관리를 위한 감염관리실을 독립된 부서로 설치·운영 55.5%로, 2018년 조사 대비 증가하였다(그림 1 참고). 

  * (감염관리위원회 구성율) ’18년 72.4% → ’22년 96.9%

    (감염관리실 설치율) ’18년 6.3% → ’22년 55.5%(감염관리 업무 수행 비율은 95.0%)


  감염관리실의 인력을 겸임으로만 배치한 경우는 96.9%이고, 전담인력을 배치한 요양병원은 3.1%로 나타났다.  


  감염관리실 인력의 감염관리 근무 경력 평균은 의사 2.4년, 간호사 2.3년이었고, 매년 16시간 이상의 감염관리 교육 의무 이수율은 의사 84.3%, 간호사 93.5%였다(그림 1 참고).

  * 근무경력 평균 및 교육 이수율은 현장조사 결과값으로 제시


  매년 감염관리 업무 계획을 수립하는 요양병원은 96.0%로 2018년 76.6%에 비해 증가했으며, 감염관리에 대한 자체 규정이나 지침을 갖추고 있는 경우는 99.3%였다. 


  직원 대상 감염관리 교육을 98.1%가 실시하였고, 94.1%는 직원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그림 2 참고).  


  2022년 한 해 동안 94.7%의 요양병원이 감염병 유행을 경험하였으며, 99.1%는 코로나19로 인한 유행이었다. 이러한 감염병 유행 발생에 대비하여 요양병원의 85.5%는 신속대응팀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감염병 유행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을 계획하고 시행한 경우는 37.2%로 낮았다(그림 2 참고).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 중 코로나19 대응에 도움이 된 것은 감염관리교육과 감염관리지침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감염관리 수가 지원과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그림 3 참고). 



2.  손위생 및 침습적 기구 사용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을 통한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해 98.6%의 요양병원은 손위생 수행률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었으며, 91.2%가 분기별 모니터링 주기로 시행하고 있었다.


  요양병원의 전체 또는 일부 입원실에 손씻기 세면대가 설치된 경우는 54.9%였고, 환자 치료 및 간호 영역에 손소독제를 비치하고 있는 경우는 95.3%였다(그림 4 참고).


  환자에게 사용하는 주요 침습적 기구 중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요양병원은 각각 96.5%, 67.4%, 29.1% 수준이었다. 


  침습적 기구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침습적 기구 유지·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 경우는 43.3%~68.6%*, 기구 사용 유지가 필요한 지 주기적인 평가를 시행하는 경우는 8.8%~29.3%**로 낮게 나타났다(그림 5 참고). 

  * (기구 유지관리 교육프로그램 운영) 유치도뇨관 68.6%, 중심정맥관 62.7%, 인공호흡기 43.3%(기구 필요성 주기적 평가) 유치도뇨관 29.3%, 중심정맥관 13.2%, 인공호흡기 8.8%



3. 격리 및 다제내성균 관리   


  요양병원의 80% 이상은 접촉이나 비말로 전파되는 감염병을 가진 환자를 1인실이나 코호트 병실로 격리하여 입원치료를 하고 있었다. 


  감염병 환자를 격리 입원치료 하는 경우, 격리실 입구에 개인보호구 및 격리 물품을 준비하고 격리표시를 부착하는 등의 격리 절차를 갖춘 경우는 90% 이상이었고, 86.0%는 격리 대상 환자를 타병원으로 전원 시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절차를 갖추고 있었다(그림 6 참고). 


  환자 입원 시 다제내성균 집락이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는 81.8%이고, 다제내성균 환자가 확인되는 경우 별도의 격리실을 마련하여 격리치료를 하는 경우는 49.2%였다. 



4. 감염관리 시설 및 환경 관리


  독립된 건물을 요양병원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81.7%였다. 입원실의 모든 병상에서 침상 간 최소간격이 유지되는 경우는 89.9%였고, 요양병원 내에서 오염된 기구의 세척장소를 진료공간이나 청결공간과 분리하고 있는 경우는 61.6%였다. 


  요양병원 내 모든 공간 또는 일부 공간에 기계 환기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경우는 65.7%였고, 환기 방법으로는 기계환기와 자연환기를 병행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65.0%, 자연환기만 실시하는 경우*가 34.2%였다.

  * 자연환기를 실시하는 경우 1일 환기 횟수는 4회 이상이 74.5%, 3회 이하가 25.5%


  환경 청소 지침 및 매뉴얼을 갖춘 경우는 88.4%, 일과 종료 후 청소도구 소독 및 건조, 청소카트의 주기적 관리 등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60.2%였다(그림 7 참고).


  이번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를 통해, 요양병원의 감염관리실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은 2018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감염병 유행 대비 훈련 등 일부 감염관리 활동 및 감염관리 시설·설비 등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부는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전담인력 배치 및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지원을 위해 올해 7월에 ‘요양병원 감염예방·관리료’를 신설한 바 있다. 


  또한 요양병원 감염관리 강화를 위해, 요양병원의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 확대 및 정기적인 점검체계 구축 등을 ‘제2차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23~’27)’의 중점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전반에 대한 현황을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한 첫 번째 조사로써 의의를 가지며, 조사결과는 국가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 활용될 것”이라고 전하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감염관리실 설치 및 인력 배치 의무 기관이 요양병원까지 확대되고 코로나19 대응 경험 등 거치면서 최근 몇 년간 국내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기반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요양병원은 장기요양 환자의 비중이 높아 감염병 발생 시 집단발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큰 만큼, 관련 부처와 함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법적·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해 나가며, 의료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등 감염관리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주요결과」공표 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 → 정책정보 → 감염병 → 의료감염관리 → 의료기관 감염관리 실태조사 → 「2022년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주요결과」(PDF파일형식)





[ 질병관리청 2023-1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41 민생불편 해소와 국민 건강 확보 위한 식약처 소관 법률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1
13240 똑똑한 연말정산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세법을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9
13239 농촌 빈집 정비 제도가 개선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7
13238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 및 감독규정 제정안 입법예고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5
13237 취업 후 학자금상환법 일부개정법률안 등교육부 소관 3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8
13236 국립중앙과학관 겨울방학 과학교육프로그램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1
13235 가맹사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6
13234 감염병 유행으로부터 국민 건강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8 6
13233 국민건강영양조사 2022년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8 11
13232 전기이륜차! 충전 대기시간 없이 달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8 6
13231 겨울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1
13230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 신설하고 학교전담경찰관 105명 증원 학교·교사, 악성 민원서 벗어나 ‘교육’에 역량 집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1
13229 겨울섬으로 동백꽃과 온천욕 즐기러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7
13228 복합쇼핑시설 화재ㆍ피난 안전시설 주기적인 점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9
»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2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