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통계개발원(원장 송준혁)은 국민시간이전계정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넓히고 이용자들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KOSTAT 통계플러스」2023년 겨울호(12.22. 발간)에 국민시간이전계정 심층분석 결과를 게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주요 분석내용을 미리 소개하고자 한다.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얼마나 생산했을까?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기초로 산출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가치는 490.9조 원으로 GDP의 25.5%에 상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생산한 가사노동 서비스는 356.0조원으로 남성이 생산한 134.9조원보다 2.6배 많은 수준이다. 연령계층별로는 노동연령층(15~64세)이 410.0조원(83.5%), 노년층(65세 이상)이 80.9조원(16.5%)를 분담하였다. 시계열로 보면 남성과 노년층의 가사노동 서비스 생산 비중이 1999년 각각 20.1%, 8.4%에서 2019년 27.5%, 16.5%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얼마나 소비하고 있을까? 2019년 기준으로 유년층(0~14세)의 경우 돌봄(105.7조원)을 중심으로 131.6조원을 소비하였으며, 노동연령층과 노년층은 가정관리(각각 259.2조원, 72.7조 원)를 중심으로 각각 281.9조원, 77.4조원을 소비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1인당 가사노동 소비는 돌봄이 많이 필요한 0세에 3,638만 원으로 가장 많고, 성년이 되는 20세에 390만 원으로 가장 적으며,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L’자형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에 따른 가사노동 서비스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는 어떤 모습일까? 가사노동 서비스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로 인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이전을 가구내(함께 사는 가족)와 가구간(함께 살지 않는 가족)으로 구분하여 보면, 가구내에서는 노동연령층과 유년층 간 서비스가 이전되며, 가구간에서는 조부모연령(55~75세)에서 손자녀 연령(0~15세)으로 서비스 이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준혁 통계개발원장은 “가사노동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 구조와 흐름을 성별, 연령별, 가구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국민시간이전계정이 보육 및 가족돌봄 등 다양한 정부정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통계청 2023-1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27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2
13226 2030, 더 이상 심뇌혈관질환 안전지대 아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13225 식품 종사자 건강진단 항목이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13224 23년 3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및 분쟁해결기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1
13223 식약처, 독감치료제 소아·청소년 안전 정보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3222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22
13221 2023년 대리점거래 서면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3220 한국잡월드, 연말연시 ‘즐길 거리 가득’ 다채로운 행사 개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3219 다가구주택 전입신고 시 동·호수 표기 강화,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 지원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4
13218 빈대 발생 감소세 전환, 국민 신고 안내 및 적극 방제 지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9
»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생산하고 누가 소비했을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3216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3215 내년부터 비양육부모-자녀 면접교섭서비스 전국 가족센터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7
13214 민관협력 미혼 한부모 생활비 지원 대상 19세→22세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8
13213 와인·위스키, 대부분 해외직구보다 국내 구매가 더 저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5 7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