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장마 종료 후 폭염으로 온열질환자 628명, 전체 발생(1,385명)의 45.3% 차지

-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18명 중 9명이 농업 분야의 70대 이상 고령층

- 어르신, 만성질환자, 어린이, 야외 작업자 등 각별한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장마가 종료된 지난 7월 26일 이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28명으로, 전체 환자의 45.3%를 차지했다고 밝히면서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현재까지(5.20.~8.2.) 감시체계로 확인된 온열질환자는 1,385명(추정 사망자 포함)으로 전년 동기간(1,074명, 추정 사망자 6명 포함) 대비 29.0% 증가하였고, 특히 추정 사망자는 지난 주말 동안 10명이 발생하면서 최근 5일간 14명, 총 18명으로 급증하였다.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의 경우, 지난 7월 29일 하루 동안 7명(사망일 기준)이 발생하면서 기록적 폭염이 있었던 2018년(8.2. 6명)보다 이른 시기에 일별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였다(2011년 감시 이후 최다 발생).



< 2023년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위험요인 >


※ (주의) 본 자료는「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응급실에서 환자 진료 시 파악한 정보를 기초로 하며, 차후 부검이나 경찰 조사 등을 통해 확인되는 내용과 다를 수 있음


 ① 폭염 특보 상황 폭염 경보(11명), 폭염 주의보(5명), 특보 없음(2명)


 ② 발생 장소 

   - 실외(16명): 논밭(10명), 실외 작업장(1명), 산(1명), 길가(3명),주거지 주변(1명)

   - 실내(2명): 비닐하우스(1명), 집(1명)


 ③ 환자 연령 40대(1명), 50대(3명), 60대(1명), 70대(3명), 80대(7명), 90대(3명)



  온열질환자는 주로 남자(77.4%), 50대(20.0%)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실외 작업장(31.9%)과 논밭(14.9%)에서 활동 중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간은 15~16시(12.4%), 14~15시(10.0%), 16~17시(9.7%), 11~12시(9.6%) 순으로, 오후 2시부터 5시 뿐만 아니라 오전에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25.7%)와 경북(8.5%), 서울·경남(7.9%),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20.1%)와 농림어업숙련종사자(8.2%)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미상, 무직, 기타 제외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시원하게 지내기,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폭염대비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3가지 >


 ①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 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등)


 ②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③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시~5시)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기

    *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강도 조절하기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자주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온열질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폭염특보(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외출을 자제하고, 야외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는 것이 온열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경우>


  올해 감시기간 동안 발생한 온열질환자 중 70대 이상의 연령층은 20.4%를 차지하고, 지난 26일 이후에는 24.5%(154명)로 나타났다.


  ① 어르신들은 체온 상승과 탈수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거나, 기저질환 때문에 약을 복용하는 분들은 체온 유지와 땀 배출을 조절하는 능력이 약해지므로 더위에 특히 주의해야한다.


  ②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는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활동 강도를 평소보다 낮추는 것이 좋다.


  ③ 어린이나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 등 창문이 닫힌 실내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하고, 혼자 계시는 어르신들의 건강안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 야외 작업자는 폭염 시 낮 시간대(12~17시) 뿐만 아니라 오전시간대 (11시)에도 활동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시원한 곳에서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많이 마시지 않도록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온열질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무더위에 직접 노출되는 야외 작업자는 물론, 더위에 취약한 노약자*가 별다른 조치 없이 더위를 참다가 온열질환이 발생하거나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하며,

  * 고령자, 독거노인, 거동이 불편하거나 치매 등 정신질환이나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노숙인, 어린이 등


  “무더운 한낮에는 야외 작업, 운동 등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시간대나 날짜를 조정하거나, 냉방이 가능한 실내 활동으로 전환하는 등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8-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22 ‘불완전상아질형성’에 대해 아시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9 20
12821 기아·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9 16
12820 주식 양도소득세, 더 쉽게 ‘간편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9 21
12819 10월 1일부터 반려동물 진료비 부가가치세 면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9 16
12818 제6호 태풍 “카눈” 9~11일 전국 직접적 영향, 중대본 최고 비상단계(3단계)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8 16
12817 모바일 신분증으로 비행기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8 16
12816 단백질 보충 일반식품, 제품별 단백질 함량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8 19
12815 식약처, 치매치료제 제품화 규제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7 17
12814 보건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7 16
12813 보건복지부, 경로당 무더위쉼터 긴급 현장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7 15
12812 전세사기피해자 경·공매지원센터 개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7 17
12811 민방위 경보 발령체계 개선대책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6
» 폭염에 온열질환자 급증, 70대 이상 20.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5
12809 폭염 피해 예방 위해 7~11일 노인일자리 참여자 실외활동 전면 중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6
12808 기능성 표시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은 다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7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