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21,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당정협의회보고하고 온라인쇼핑몰이나 모바일 앱에서 유행하는 다크패턴(dark pattern, 이른바 눈속임 상술’)에 대한 대책발표했다.

 

이날 모두발언에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공정위는 다크패턴 문제의 심각성에 크게 공감하고, 지난해부터 이를 실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왔다고 하였다.

 

공정위는 다크패턴은 그 유형매우 다양하고 명백한 기만행위부터 일상적인 마케팅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나타나므로 이를 전면 금지하기보다 규율 범위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민해 왔다하면서, 그 결과, “여러 유형의 다크패턴 가운데 소비자 피해유발우려가 큰 13개 행위도출했고, 이들을 실효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방안보고하였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제시한 13개 행위에는 그동안 소비자의 자유롭고 합리적인 선택 방해해 온 상술들이 대거 포함되어 눈길을 끌었다. 무료서비스유료전환하거나 월 구독료인상하면서,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고 계약을 자동 갱신하거나 대금을 자동 결제하는 행위(숨은 갱신), 사업자에게 유리한 옵션 미리 선택해 놓고 소비자가 이를 무심코 지나치도록 유도해 자신도 모르게 멤버십에 가입하게 하거나 원치 않는 서비스이용하게 하는 행위(특정옵션 사전선택) 등은 온라인 시장에서 사업자가 소비자 낚시에 사용해 온 대표적인 상술들이다.

 

그밖에 상품 검색결과가 나타나는 첫 페이지에는 일부러 가격을 낮게 표시하고, 결제가 진행됨에 따라 숨겨진 가격들을 차츰 보여주며 나중에 모두를 더한 금액최종가격으로 청구하는 행위(순차공개 가격책정), 계약체결, 회원가입 절차보다 그 해지, 탈퇴 절차를 복잡하게 설계하거나 방법을 제한하는 행위(취소/탈퇴 방해) 등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소비자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행위로 공정위는 보았다.

 

나아가, 13개 행위실효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크게 2가지 방안을 추진하는 데 당정인식을 같이 하였다.

 

우선, 문제되는 13개 행위 가운데 숨은 갱신6개 행위의 경우 현행법으로 규율하기 어려워 법적 근거 보완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관련 입법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자상거래법에 현행법으로 규율이 어려운 유형의 다크패턴 행위에 대한 금지규정신설하는 방안,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월 구독료 등을 인상한다는 사실을 미리 알리는 등 의무를 부과하는 방안, 다크패턴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사업자 자율규약 제정·운용 근거마련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또한, 공정위는 입법이 이루어지기 전에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정책을 선제적·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공정위는 문제 행위가 무엇인지 시장에서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온라인 다크패턴 피해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제정할 계획이다. 공정위는 가급적 상반기 중에 가이드라인 제정을 마무리하여 소비자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다크패턴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피해방지하기 위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사업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알리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공정위는 소비자원, 소비자단체와 함께 주요 전자상거래 분야를 대상으로 문제 되는 상술을 가장 많이 쓰는 사업자는 누구인지, 사업자별로 어떤 상술많이 쓰는지 등을 상세히 비교·분석해 공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온라인몰·모바일앱 이용과정에서 합리적인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들로 하여금 눈속임·낚시 마케팅자제하도록 유도하자는 것이 그 취지이다. 공정위는 소비자원에서 최근 오픈마켓, 홈쇼핑 등 종합 쇼핑몰에 대한 1차 조사 착수하였으며, “하반기에도 소비자단와 함께 의류, 엔터테인먼트 등 개별 분야에 특화된 쇼핑몰을 대상으로 2·3차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공정위는 문제되는 행위들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적극 시정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정위는 우선, ‘온라인 다크패턴 피해 방지 가이드라인이 제정되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주요 사업자단체공유하고 소속 사업자들에게 그런 행태를 스스로 개선하도록 촉구할 것이라고 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정되지 않는 행태에 대해서는 현행법을 적극 집행해 최대한 바로 잡겠다고 하였다.

 

이날 보고된 정책방향은 온라인 시장에서 복잡·다양하게 나타나는 상술 가운데 어떤 행위규율할 필요있는지, 어디까지 규율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처음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공정위도 이에 대해 규율의 테두리명확히 하고, 테두리 안에서는 시장자율최대한 존중하며, 테두리를 벗어난 행위적극적으로 바로잡는 경제사법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온라인 시장에서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 공정거래위원회 2023-04-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5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12457 전세사기 피해 종합금융지원센터 개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0
12456 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12455 체불된 임금, 서류상 사업주 아닌 실제 사업주에게 청구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2
»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12453 내용물은 비우고 상표띠는 뜯고 뚜껑은 닫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16
12452 누리소통망(SNS) 부당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20
12451 '22년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및 주요 특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11
12450 우회전 일시정지 위반행위, 4월 22일부터 본격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92
12449 전세사기 피해자에 대한 금융권 자율 경매유예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8
12448 2022년 실손의료보험 사업실적(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0
12447 한 번의 클릭! 한 번의 관심! 보이스피싱을 예방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102
12446 음주운전 및 어린이 안전 중점적으로 살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89
12445 거동 불가 예금주의 치료비 목적 예금 인출 절차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9
12444 ‘마약류 불법 제조·유통·관리’ 청렴포털(clean.go.kr)에 바로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87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