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요 내용 -


□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율은 2배 이상 증가(시행 시 11.6%, 미시행시 5.3%)하지만,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8.8%에 불과(’21년 기준) 

□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교육 영상(주제별 영상) 제작 및 배포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심폐소생술 교육 영상 12종을 제작하여 누구나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 누리집 등에 배포(3.13.)한다고 밝혔다.



□ 심폐소생술이란 심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췄을 때, 정지된 심장을 대신하여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직접 공급해주는 응급처치로,


 ○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첫 단계이기 때문에 국민들이 심폐소생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 「2021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3,235명 중, 구조대원 및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목격한 경우는 29,076건으로, 이 중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는 8,381건(28.8%)이었다(그림 1 참고).


 ○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에는 11.6%가 생존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3%만 생존하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율이 2배 이상 높았다.



□ 이번 영상자료는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이라는 주제로 「일반인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 프로그램 2022년 개정판」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 일반인, 어린이, 영아 등 시행 대상을 세분화하여, 12개 영상으로 구성하였다 (붙임 참고).


  - 제작된 영상은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유튜브 채널*, 국가손상정보포털** 에서 시청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 유튜브(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목격 시 빠른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심폐소생술 교육 영상 자료가 환자를 살리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급성심장정지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심폐소생술을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자료 개발을 확대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3-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16 리사이클 나일론 백팩, 재활용 소재 증명 내용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4 88
12315 식약처, 만성 신질환 환자의 빈혈 치료제 선택의 폭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4 66
12314 발달장애인 보호자 돌봄 부담 경감을 위해 긴급돌봄 시범사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4 88
12313 「국토계획법」·「여객자동차 운수법」 시행령 개정안 14일 국무회의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4 69
12312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3년 2월 노동시장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6
12311 산업안전보건교육 현장에서 쉽게 받고 교육시간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4
»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환자 한 해 33,235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86
12309 신학기 고민, ‘청소년상담1388’과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5
12308 취약계층 등유·액화석유가스(LPG) 난방가구 난방비 지원 신청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96
12307 중소기업 퇴직연금‘수수료 0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9
12306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한달 사이 2.2배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0 87
12305 ‘중고차 허위매물 피해사례’ 신고를 기다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0 83
12304 봄철 등산객 증가…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요령 적극 알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9 68
12303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자 99% 안전모 미착용, 공용 안전모 제공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9 57
12302 고위험군 영유아(6개월-4세) 보호를 위해 코로나19 백신접종에 참여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9 45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