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보고서의 내용은 성인(만19세 이상) 비만 주요 지표*의 ’08년(연중조사 전환 시기) 이후 장기간의 추이 및 관련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변화이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비만(체질량지수 25kg/m2이상), 2단계이상(체질량지수 30kg/m2이상) 비만 유병률 위주로 요약


[1] 남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남자는 전 연령에서 ’08년 이후 매년 비만 유병률이 약 2%씩,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약 6%씩 증가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5.9% → ’21년 44.8%, 연간퍼센트변화량 2.1%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4.1% → ’21년 7.6%, 연간퍼센트변화량 6.3%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과 유행 후(’20-’21년)를 비교하면, 비만은 30-49세에서 증가 폭이 컸고, 2단계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증가가 뚜렷하였다.


  *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진하게 표시


  -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음주”이며,


  - 19-39세는 흡연,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2] 여자의 비만 유병률 추이 및 관련요인 (2008~2021년)



 ○ 성인(만19세이상) 여자의 비만은 남자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08년 이후 매년 3.1%씩 증가하였다(붙임 1 참고).


  - 특히 19-39세는 비만(연 2.0% 증가)뿐만 아니라, 2단계이상 비만(’14년 이후 연 10.3% 증가) 증가가 뚜렷하였다.

‧ (비만 유병률) 여자 ’08년 26.4% → ’21년 29.5%, 연간퍼센트변화량 0.6%

‧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 남자 ’08년 3.7% → ’21년 6.3%, 연간퍼센트변화량 3.1%


     * 비만 관련요인 분석 대상자 차이로 일부 연도는 「국민건강통계」 결과와 차이가 있음.


  - 여자의 코로나19 유행 전(’18-’19년)․후(’20-’21년)의 연령별 비만은 남자와는 다르게 전 연령에서 변화가 없었다.


 ○ 여자의 비만 관련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낮은 교육 및 소득수준”이 높게 나타나 남자와는 차이가 있었고,


  -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 질(식생활평가지수), 60대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붙임 2 참고).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 “남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비만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아울러 “비만 관련요인은 남녀간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하여 차별화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 비만 증가가 뚜렷한 남자 30~40대, 여자 20~30대를 대상으로 고위험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은 건강조사 결과가 국가 건강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3년에는 음주행태, 당뇨병 주제의 심층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며, 


 ○ 상세한 결과는 국가건강조사 분석 보고서인「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23년 1월 공개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http://www.kdca.go.kr), 국민건강영양조사(https://knhanes.kdca.go.kr)



[ 질병관리청 2022-12-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53 '고향사랑의 날' 국가기념일로 지정・운영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5
12052 핸드크림, 피부 보습 유지성능과 사용감이 제품 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7
12051 내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202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8
12050 근로자라면 휴가비 지원받고 국내 여행 떠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5
12049 [금융꿀팁200선] 139번_급전이 필요하거나 보험료 납입이 부담되어 보험계약 해지를 생각하는 경우, 보험계약대출 등 다른 방안을 먼저 알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5
12048 K-apt에서 사업비 비교·지도에서 관리비 찾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5
12047 2023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금리 1.7%로 동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1
12046 수입 삼겹살과 간장·된장의 면세 효과, 가격 인하로 이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6
12045 일부 아보카도 오일,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표현 사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15
» 성인 남자의 비만 유병률, 매년 2.1%씩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10
12043 내년부터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 1월 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56
12042 11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9
12041 내년 1월 1일부터 고향사랑기부제 첫 시행,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6
12040 자동차야영장의 화재, 차량사고 등 안전사고 예방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1
12039 코엔자임Q10 등 원료 9종의 섭취 시 주의사항 추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3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