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좌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93pixel, 세로 477pixel

보도자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슬로건_국문만사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151pixel

보도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자

2021. 11. 8.()

담당과장

통합식품데이터기획과

정영숙 (043-719-4051)

담당자

장태호 사무관

 (043-719-4052)

 

 

 

 

편리하고 새로워진‘내손안’앱을 만나보세요

- 식품관련 제품‧업체‧안전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있도록 개선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스마트폰에서도 편리하게 식품 정보를 확인할 있도록 새롭게 개편한 식품안전정보 어플리케이() ‘내손안’ 서비스를 11 8일부터 선보입니다.

  ‘내손안’은 스마트폰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지 국내제조‧수입  업체 검색 물론 부정불량식품 신고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 앱 누적 다운로드(): (18) 67,504 (19) 375,109 (20) 49368 → (21.10) 535,938

  이번 개편은 대국민 인식 조사결과*등을 반영하여 일상생활에서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있도록 소비자 관심 콘텐츠 추가하고 성능과 사용자 편의기능 높였습니다.

    * 내손안 어플리케이션 대국민 인식조사(21.23): 사용자 중심 환경(UI) 개선 필요(34.5%), 정보 편리성ˑ활용성 개선(24.8%), 앱 성능 개선(24.5%)

  주요 개편 내용은 건강기능식품 유해물질 정보 추가 신설 국내․수입식품 업체 정보 등을 사용자 중심으로 편의 기능 개선(디자인, 검색항목ˑ속도, 지도 표시 ) 등입니다.

 

 

 < 소비자 관심이 높은 정보 추가 제공 >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증가 ‘건강과 안전’ 대한 관심이 높아짐 따라 건강기능식품 유해물질 정보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신설)

유해물질(신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c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24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c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4pixel, 세로 2778pixel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정보와 원료‧제품 데이터를 연계해 인체 그림에서 신경계, 소화‧대사계 아이콘 선택하면 기능성 원료 정보 관련 제품 상세정보까지 한번에 확인 있습니다.

    * () ‘장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알고 싶을 때 ʹ장ʹ 클릭 후 안내된  기능성원료ʹ를 조회하면 제품 정보, 제품의 섭취량․유통기한 등 상세한 정보 확인 가능

   -  검색어 입력 대신 스마트폰(광학문자인식)* 이용하여 제품명만 촬영해도 건강기능식품 정보 바로 있습니다.

    * 광학문자판독장치(Optical Character Reader): 문자를 빛을 이용하여 판독하는 장치

  (유해물질) 최근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진 일상 유해물질* 관련해 노출 요인, 검출량, 인체에 미치는 영향, 안전관리기준, 생활 예방법 등을 e-book으로 간편하게 제공합니다. 

    * 생물학적 유해물질(: 살모넬라 등)과 화학적 유해물질(: 아크릴아마이드 등) 등 총 27

 

 < 사용자 중심 사용 편의성 제고 >

이번 ‘내손안’ 개편은 사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 검색항목 간소화(최대 6 3), 검색속도 단축, 지도 표시 정확성 제고 사용자 중심의 환경(UI/UX)으로 개선했습니다.

   

개편 전 초기화면

개편 후 초기화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cc444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0pixel, 세로 133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c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2400pixel

  (국내식품) 제품명 검색 또는 바코드 촬영하면 유통기한, 회수판매중지 여부 표시되고, 주제별 검색으로 해썹(HACCP) 제품 고열량‧저영양 식품 별도로 찾아 있습니다. 

  (수입식품) 제품명으로 검색하면 수입 신고된 제품인지 여부 함께 제조(수출)국가, 해외제조업소, 유통기한 등을 쉽게 확인 있습니다.

  (식품업체) 업체명 검색으로 HACCP·GMP 업체 여부, 행정처분 부를 확인할 있고, 특히 음식점 경우에는 음식점 위생등급업소, 나트륨 줄이기 실천 음식점 정보 있습니다.

   - 아울러 법령 위반업체, 음식점 위생등급업소, 나트륨실천 줄이기 음식점의 정보를 SNS 공유  있고, 지도 기능으로 정확한 위치도 확인 있습니다.

 

  (기타) ʹ달걀 정보ʹ에서는 산란일자, 생산자 정보, 사육환경 확인 있으며 또한 ’소비자신고 1399ʹ 선택하면 부정‧불량식품 의심제품을 바로 신고가 가능합니다.

이번에 개편된 내손안’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 앱스토어(아이폰), 원스토어에서 ‘내손안’으로 검색하면 다운로드 받을  있습니다.  

  아울러 식품안전정보원ˑ한국관광공사와 함께 118일부터 1117일까지「식품안전정보 궁금할 땐 ‘내손안’ 잡기」다운로드 이벤트를 진행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이벤트 내용은 식품안전나라(https://www.foodsafetykorea.go.kr)와 대한민국 구석구석((https://korean.visitkorea.or.kr)에서 확인 가능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 입장에서 언제 어디서나 보다 쉽고 하게 식품안전정보를 제공받을 있도록 사용자 의견수렴을 통해 서비스 지속 개선 나갈 계획입니다.

 

 

<붙임>  1. 식품안전정보 필수앱 ‘내손안’ 이용방법(카드뉴스)
2. 식품안전정보 필수앱 ‘내손안’ 이벤트 화면

 

붙임 1

 

식품안전정보 필수앱 ʹ내손안ʹ 이용방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6.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600pixel

 

붙임 2

 

식품안전정보 필수앱 ʹ내손안ʹ 이벤트 화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내손안-이벤트_제작원본_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1617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내손안-이벤트_제작원본_02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1976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26 국민권익위,“청구인이 선택한 정보공개방법, 공공기관이 임의 변경하면 안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1 7
10825 2021년 10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0 6
10824 11일부터 감염병 우려 시 전자적 방법으로 조합총회 의결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0 16
10823 11월 11일 보행자의 날… 안전한 한 걸음, 건강한 두 걸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0 9
10822 2021년 3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0 5
10821 화재로 훼손된 기록물, 이렇게 응급조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39
10820 정부, 11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17
10819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디지털로 소비해, 코로나19 이후 2배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6
10818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1,123개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6
10817 ‘토닥토닥 치유(힐링) 여행’ 상품 500여 개 40% 할인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8
10816 국민권익위, “억울한 행정처분, 구제 받을 수 있나요?” 최신 행정심판 재결례 3만 건 공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12
10815 순찰차가 주행하며 과속단속... 순찰차 탑재형 교통단속장비가 뜬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9
» 더 편리하고 새로워진 '내손안' 앱을 만나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8
10813 2021년 주식리딩방 불법, 불건전 영업행위 중간 점검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8
10812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6
Board Pagination Prev 1 ...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