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기관사 등 철도종사자(기관사, 관제사, 승무원, 공사현장 감독)의 음주ㆍ약물사용에 대해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소속 철도경찰대는「철도안전법」(제41조)에 따라 열차탈선, 충돌ㆍ추돌 등 철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철도종사자 음주ㆍ약물사용 여부를 단속하고 있다.

철도경찰대의 철도종사자에 대한 음주ㆍ약물단속은 ‘음주ㆍ약물복용 확인ㆍ검사 업무지침’에 따라 경찰청의 음주ㆍ약물단속과 유사한 방법과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음주단속은 호흡기 측정으로 시행하고, 필요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 하고 있으며 약물복용 검사는 철도사고가 발생하거나, 약물복용의 의심이 있을 경우 단속 장비로 측정을 하고 양성반응이 나오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정밀 의뢰하고 있다.

철도경찰대는 음주ㆍ약물단속 장비의 정확성과 신뢰성 유지를 위해서 6개월마다 국가공인기관의 검정과 교정을 받고 있다.

철도종사자가 술을 마시고 혈중 알코올 농도 0.03% 이상 또는 약물을 복용하고 측정시 양성반응이 나올 경우, 2년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과 행정처분을 하고 있다.
* 행정처분은 술에 만취한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1% 이상)에서 운전한 경우에 면허취소, 술을 마신 상태의 기준(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을 넘어서 운전을 하다가 철도사고를 낸 경우 면허취소, 술을 마신 상태(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 0.1% 미만)에서 운전한 경우에 1차 효력정지 3개월 2차 적발시 면허취소를 규정하고 있다.
 

<참고: 현행 운전면허 취소ㆍ효력정지 처분의 세부기준>

위반사항 및 내용

처분기준

1차 위반

2차 위반

1.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에 만취한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1퍼센트 이상)에서 운전한 경우

면허취소

 

2.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을 마신 상태의 기준(혈중 알코올농도 0.05퍼센트 이상)을 넘어서 운전을 하다가 철도사고를 일으킨 경우

면허취소

 

3.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약물을 사용한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면허취소

 

4.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을 마신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03퍼센트 이상 0.1퍼센트 미만)에서 운전한 경우

효력정지 3개월 이상

면허취소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음주단속을 강화하고 행정처분도 대폭 상향할 계획이다.

우선, 철도종사자의 운전면허취소ㆍ효력정지 처분을 혈중알코올 농도 수치별로 세분화(0.03%~0.06%~0.09%이상)하고, 처분기준도 강화 할 계획이다.

철도사고 뿐만 아니라 철도사고로 발전될 위험성이 있는 경우* 에도 음주ㆍ약물단속을 시행할 계획이다.
* 열차가 정지신호를 지나쳐 다른 열차 또는 철도차량의 진로를 지장한 경우, 측선에서 탈선한 철도차량이 본선을 지장하는 경우 등

또한, 철도차량 및 시설 점검ㆍ정비업무 철도종사자도 음주ㆍ약물 제한 대상자로 확대할 계획이다.
* (현행) 음주제한 철도종사자, 철도안전법 시행령 제43조) 기관사, 관제사, 승무원, 공사현장 감독자, 열차조성 업무자 → (추가) 철도차량 및 시설 점검ㆍ정비업무 종사자

이밖에도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도시철도 종사자에 대한 음주ㆍ약물단속을 강화하도록 지시하고,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철도경찰로 단속을 일원화 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2015-08-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3 해외 구매‧배송대행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 조항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31 90
1162 패혈증 치료를 위한 표적분자 규명 및 신약물질 발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93
1161 심장질환 대상 내·외과 심장통합진료 신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195
1160 ‘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80
1159 산후조리원 종사자 결핵 예방관리 대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79
1158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을 ‘뱅머신’ 방식으로 일원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76
» 기관사 등 철도종사자 음주ㆍ약물단속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105
1156 불법판매 의약품 수거.검사결과, 모두 가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77
1155 연금보험료 체납시, 관급공사 기성금 수령 불가, 사업양수인 등이 대신 납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95
1154 공간정보 엔젤투자 유치 멘토링에 참여하여 창업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83
1153 페라리, 볼보트럭, 할리데이비슨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87
1152 2015년 7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17
1151 소규모 공연장 관객석 안전관리 미흡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06
1150 저축은행 대고객 문자(SMS) 알림서비스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11
1149 자동차 담보대출 소비자 권익 제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18
Board Pagination Prev 1 ...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