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5월말 현재까지 7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2.3개)보다 3배 많이 발생하였고, 예년에 비해 강력한 슈퍼태풍이 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여름철 재해대책을 발표하고 사전대비에 철저를 기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현재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1℃ 높은 상태이고, 해저 고수온대가 이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어 해수온도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 중앙태평양의 수온이 높아 태풍 발생해역에 열에너지 공급이 원활하고, 태풍 발생지가 남동쪽으로 내려가 북상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한반도를 지나는 태풍은 강해질 가능성이 크다.
- 예상진로 또한 동중국해로 북상하는 경로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어 인접지역인 한국, 일본 열도에 영향 가능성이 높다
○ 과거 엘니뇨가 있었던 2002년에는 슈퍼태풍 루사가 한반도에 상륙하여 사망·실종 등 246명의 인명피해와 5조원이 넘는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고, 농업부문에도 1조3천억원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 엘리뇨가 절정에 달했던 1998년에는 중부지방에 21일간 집중호우(7.31.~8.20.)로 121명이 사망하고 52명 실종, 13천 가구가 침수되어 5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 농업부문의 경우 농작물 86천ha의 피해와, 농경지 유실·매몰 8천ha, 수리시설 2,529개소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2,950억 원의 복구비를 지원한 바 있다.
- 특히 예년의 태풍은 7~8월에 한반도에 영향을 줬으나 1998년 제9호 태풍 ‘예니’는 10월 수확기에 한반도에 상륙하여 농작물 152천ha에 낙과 및 도복피해를 입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6월 10일부터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농업 관련기관과 지자체 및 농업인에게 여름철 재해 사전·사후대비를 철저히 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종합대책의 주요내용
○ 농업재해대책상황실 설치·운영(6.10. ~ 10.15.)
- 상황실장(농업정책국장) 주관 초동대응팀 등 5개팀 16명으로 운영
○ 풍수해(호우·태풍), 폭염, 저온 등에 대비한 단계별 행동요령
○ 저수지 안전관리대책 강화
○ 영농단계별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농기계 등 재해대비 관리대책
○ 사전예방·복구상황 및 현장 소통창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군별 지역 담당관을 지정 운영
또한, 자연재해는 불가항력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농업인 스스로 사전대비를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과,
○ 재해발생시 정부에서 지원하는 재난지원금은 복구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므로, 실손 수준의 보상이 가능한 농작물재해보험에 적극 가입해 줄 것도 당부하였다.
○ 2014년 경기도 일산 시설하우스 1천평에 장미를 재배하던 장○○씨는 보험료 1,127천원을 내고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하였고, ‘14.6.10일에 강한 회오리바람(용오름)으로 하우스가 파손되어 보험금 1억4천만원 수령하였다.
- 하지만, 시설에 대한 보험만 가입하고 농작물(장미) 보험은 가입하지 않아 농작물 보험금 66백만원을 추가로 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며 뒤늦은 후회를 하기도 하였다
○ 또한, 금년 3월 인천·강화 지역에서 돌풍으로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 8.2ha가 피해를 입었지만 보험가입 농가가 없어 복구비 157백만원(농가당 230만원)만 지급한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6-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8 건축물 감리, 공종·단계별 “실명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81
727 서울시 지하철․버스요금 인상안, 소비자물가상승률보다 2.7배~3.6배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210
726 바젤기준에 부합하는 필라2 및 필라3 제도 국내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118
725 ‘매실주’ 안전하게 담그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90
724 유통기한 미표시 원료 사용‘과자’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101
72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78
» 올 여름 슈퍼태풍 온다 ! 재해보험 가입하세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70
721 메르스 격리 가구 긴급 생계지원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68
720 9월부터 선택진료제도 개선 2단계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73
719 메르스 극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10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80
718 철근·단열재·내화충전재, 건축현장 불시점검에 포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355
717 1월 대비 5월 배추 판매가격 58.0%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322
716 ㈜토황토 ‘축열식 전기뜸질기’ 자발적 무상점검 및 무상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149
715 정당한 보험금 지급관행 확립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77
714 “비브리오패혈증 등 여름철 수산물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82
Board Pagination Prev 1 ... 867 868 869 870 871 872 873 874 875 87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