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5년 리콜 총 1,586, 공산품 · 식품 리콜 증가

공정위, 2015년 리콜 실적 발표

#A사의 노트북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 화상 위험이 있어 사업자가 자진 수거 및 교환 실시(자진리콜, 2015422)

#D사의 들기름에서 벤조피렌이 기준 초과 검출되어 회수 · 폐기 명령(리콜명령, 2015415)

#F사의 무좀 치료제 일부 제품이 보관 조건에 따라 튜브가 터질 수 있어 자진 회수 조치(자진리콜, 2015722)

#I사의 일부 차종에서 에어백 결함이 발생되어 자진 회수 조치(자진리콜, 2015717)

공정거래위원회는 리콜 관련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부, 식약처 등 정부 부처와 지차체, 소비자원의 2015년 리콜 실적을 분석해서 발표했다.

2015년 리콜 건수는 총 1,586건으로 20141,752건 보다 약 9.5%, 166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2014년 한약재에 대한 식약처의 대규모 리콜 명령으로 대폭 증가했던 의약품 리콜이 예년 수준으로 감소했을 뿐 전반적으로는 증가 추세이다.

유형별로는 리콜 명령이 890건으로 절반 이상(56.12%)을 차지했다. 자진 리콜이 2013263, 2014339, 2015536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점에 더하여 결함 제품의 자발적 리콜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기업의 노력 등으로 판단된다.

품목별로는 일반 공산품 리콜이 654건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 375, 의약품 212, 자동차 203건 순이었다.

공산품의 경우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전 기준 위반 제품 조사와 처분 기준 강화 등으로 리콜 명령이 422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식품에서는 식약처의 자가 품질 검사 개선 방안 마련과 교육 강화 등에 따라 자진 리콜이 59건에서 152건으로 증가했다.

의약품에서 자진 리콜은 소폭 증가한 반면 2014년 한약재 관련 대규모 조치로 급증했던 리콜 명령이 예년 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

자동차관리법 상 자동차 안전 기준, 부품 안전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결함 발견 등에 따라 자동차 업계의 자진 리콜도 소폭 증가했다.

리콜 실적과 자세한 품목별 정보는 스마트 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go.kr)와 전용 앱(AP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올해 말 소비자 종합 지원 시스템이 개통되면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통합 리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11 동물용의약품 기준초과 검출 중국산‘활미꾸라지’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91
2910 ’16년 2/4분기 석유제품 수급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82
2909 프랜차이즈 편의점, 매장위치·쾌적성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84
2908 홈쇼핑사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근절방안 마련-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119
» 2015년도 리콜실적 분석·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80
2906 “혼자 관리하기 힘든 고혈압·당뇨, 동네의원과 함께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99
2905 건강한 2학기 준비물! ‘예방접종’ 챙기고, ‘예방수칙’ 지키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102
2904 일부 수입 냉동과일제품, 대장균군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119
2903 금융꿀팁 200선 - (1)현명한 신용관리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98
2902 '16년 상반기 대포통장 발생현황 분석 및 대응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118
2901 젓갈 제조업체 등의 위생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85
2900 여름 감기로 착각한 ‘바이러스 수막염’, 60%가 10세 미만 아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02
2899 '16.7월 전월세 거래량은 11.0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0.1%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11
2898 '16.7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9.6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3.6%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10
2897 공정거래조정원, 상반기 분쟁조정 971건 처리, 피해구제 성과 490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73
Board Pagination Prev 1 ...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