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어린이용 파티 드레스나 코스튬 의상을 저렴하게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해외직구 플랫폼(알리 스프레스, 테무)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52.9%(9)가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른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6(완구)

<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부적합 제품 >

온라인

플랫폼

제품명*

사용

연령

작은 부품

유해물질

화염전파속도

포함 및

경고 표시 여부

프탈레이트(0.1%)

(100mg/kg)

30mm/s 이하,

10~30mm/s 경고 표시

알리

익스프레스

여아용 녹색 팅커벨 드레스

36개월 미만

포함

프탈레이트(19.8)

-

보라색 투투 가운

포함

-

기준 초과(38)

키즈 소녀 엘사 드레스

36~72개월 미만

-

-

기준 초과(46)

엘레나 드레스 소녀

-

-

경고 없음

인어 공주 아리엘 드레스

경고 없음

-

경고 없음

겨울왕국 공주 안나 역할 놀이

-

-

경고 없음

할로윈 코스프레 아담스 가족

경고 없음

프탈레이트(62.4)

(237)

기준 초과(37)

닥터 이상한 의상 박사

경고 없음

-

-

어린이 유니폼 경찰 의상

경고 없음

프탈레이트(40.8)

-

* 전체 조사대상 제품명 붙임 3 참고

반지·귀걸이 등 작은 부품 삼킴 주의 필요

국내 안전기준에 따르면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작은 부품*은 제품의 사용 연령에 따라 포함 금지(36개월 미만)하거나 포함 시 경고 표시(36~72개월 미만)를 해야 한다.

* 원통형 측정 기구(지름 31.7mm, 좌편 25.4mm, 우편 57.1mm)에 잠기는 크기

하지만 조사대상 17개 중 35.3%(6)는 작은 크기의 반지, 귀걸이 등을 포함하거나 경고 표시가 없어 어린이가 삼킬 경우 질식 등의 우려가 있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납 등 유해물질 검출

유해물질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17개 제품 중 17.6%(3)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납이 검출됐다.

3개 제품의 머리띠, 장갑, 장식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안전기준 (0.1% 이하)을 최대 624(19.8~62.4%) 초과하여 검출되었고, 이 중 1개 제품의 벨트에서는 납이 국내 안전기준(100/이하)보다 2.3(237mg/kg) 더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Phthalate):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로 생식 및 성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Pb, lead): 발암물질로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 식욕부진, 빈혈, 근육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불꽃이 닿으면 빠르게 번져 화상·화재 위험

화염전파속도 시험이 가능한 15개 제품 중 40%(6)가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 이 제품들은 촛불·폭죽 등의 불꽃이 닿으면 불이 빠르게 번져, 어린이가 화상·화재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었다.

6개 제품 중 3개는 화염전파속도가 국내 안전기준(30mm/s 이하)을 최대 1.5(37~ 46mm/s) 초과했다. 나머지 3개 제품은 국내 안전기준(10~30mm/s 사이) 따른 경고 표시가 없었다.

국내 안전기준 부적합 제품 유통 차단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 사업자에게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해당 위해제품의 판매 차단을 권고했다. 이에 플랫폼 사업자는 권고를 수용하여 위해제품의 판매를 차단했으며 자체적인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할 예정임을 알렸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위해제품의 유통을 차단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


[한국소비자원 2025-10-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안전 실태조사 결과] 일부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국내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0.24
5296 국내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상품 투자시유의사항 안내 및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10.17
5295 잔류농약 성분이 검출된 FONTANA FORMIELLO 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5.10.16
5294 식품첨가물이 과다 검출된 MASAN INDUSTRIAL 마늘 고추 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5.10.16
5293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DermaRite 보습크림(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10.16
5292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DermaRite 보습크림(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5.10.16
5291 살충제 성분이 허용농도 이상 검출된 Carrefour 다즐링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5.10.16
5290 핸디형 피부관리기, 과도한 자극 느껴질 경우 사용 중단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10.16
5289 개봉 시 병이 급격하게 열릴 수 있는 Berocca 에너지구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5.10.15
5288 효모 발생으로 인한 변질 우려가 있는 하우스식품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5.10.15
5287 밀봉상태가 불확실한 아이리스 푸드 즉석밥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5.10.15
5286 제품 오포장 및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미표기된 Haldiram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5.10.15
5285 미허가 첨가물이 검출된 켈로그 Hostess 케이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5.10.15
5284 합법 vs 불법, 유사투자자문 제대로 알아야 피해가 줄어듭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5.10.15
5283 과도한 화학물질이 검출된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5.10.14
5282 농약 성분이 검출된 Kirkland Signature 고춧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5.10.14
5281 질식 위험이 있는 베이비 라운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5.10.14
5280 과도한 카드뮴이 검출된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5.10.14
5279 과도한 납이 검출된 헤드랜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5.10.14
5278 과도한 화학물질이 검출된 무선 노래방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5.10.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5 Next
/ 26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