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치매보험 중 경증치매 보장 상품은 4.9%에 불과

- 치매보험 선택시 보장범위(중증·경증), 보장기간(80세 초과)에 유의해야 -

속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환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는 많은 비용이 수반되는 치매진료비에 대비하기 위해 치매보험에 가입하고 있지만, 현행 치매보험은 가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시판 중인 103치매보험상품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증치매를 보장하는 치매보험상품은 4.9%에 불과

조사결과, 103개 치매보험상품 중 경증치매를 보장하는 상품은 5(4.9%) 불과했다. 2015년 기준 중증치매환자 비율은 전체 치매환자의 15.8%이고, 나머지 84.2%의 치매환자들은 치매보험에 가입되어 있더라도 보장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20146월 치매보험의 보험금 지급비율은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중증치매 발생률은 80세 이후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치매보험으로 실질적인 보장혜택을 받으려면 경증치매를 포함하여 보장기간이 80세를 초과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중증치매환자의 사고 시 환자 가족의 부담 경감을 위한 대책 필요

치매환자는 자살, 폭력 등 예기치 않은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중증치매환자의 경우 심신상실상태에서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치매로 인한 개인적 고통·피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치매관리법의 입법 취지를 반영하여, 중증치매환자가 발생시킨 인적·물적 사고에 대해 자신이 가입한 보험상품을 통해 본인 및 가족의 위험을 보장받음으로써 불필요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줄여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2

따라서 치매보험 가입자의 경우 기존의 진단비나 간병비를 지원받는 차원을 넘어, 중증치매환자의 인적·물적 사고 유발 시 환자 본인 또는 가족의 위험(손해배상책임)을 보장하는 단기 배상책임보험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치매보험상품 소비자불만의 절반(45.5%) 불완전판매로 인해 발생

최근 3년간(‘13~’16.6)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치매보험 관련 소비자불만이 총 99 접수됐는데, 치매보장 범위를 포함한 상품 설명 미흡 등 불완전판매로 인한 불만이 45(45.5%)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보험금 지급 지연·거부 16(16.2%), 계약의 효력 변경·상실치매등급에 대한 불만이 각각 8(8.1%) 순이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 : 공정위가 운영하고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국내 유일 전국 단위의 통합 상담처리시스템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보험급 지급사유를 경증치매상태로 확대한 보험상품 개발·출시 중증치매환자의 사고 유발 시 보험사가 위험을 보장하는 배상책임보험 마련 불완전판매 개선을 위한 관리·감독 강화 등을 관계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치매보험상품 선택 시에는 경증치매(CDR척도 1~2) 및 중증치매(CDR척도 3점 이상) 보장이 가능하며 경증치매 또는 중증치매로 진단 확정 시 진단비가 많은 보험상품을 선택하고 80세 이후에도 보장이 지속되는 보험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8-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5 단체상해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93
» 치매보험 중 경증치매 보장 상품은 4.9%에 불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0
2853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된 두부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82
2852 의료기관·학교·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결핵·잠복결핵 검진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2
2851 “이제 마트에서 곤충식품을 만나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93
2850 간편심사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4
2849 불만글 올렸다고 가맹점 계약 해지, ㈜대호가 게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91
2848 ‘㈜콜핑’, 지퍼 매듭 마감 미흡한 티셔츠 무상수선?교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58
2847 식약처, 식품 축산물 관리기준 일원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80
2846 학원가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위생점검 실시 사전 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95
2845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 인센티브 지원사업 온라인 환급시스템 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31
2844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에 미국(마이애미 시 등) 추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89
2843 오염지역 방문 후 비오염지역을 거쳐 입국할 때에도 반드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하여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15
2842 다임러트럭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76
2841 봉화고등학교의 부당한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92
Board Pagination Prev 1 ...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