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이진숙, 이하 ‘방통위’), 금융위원회(위원장 이억원, 이하 ‘금융위’), 경찰청(청장직무대행 유재성),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 금융감독원(원장 이찬진, 이하 금감원)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등 공공기관 사칭, 명절 선물 구매를 위한 쇼핑몰을 사칭하여 금전을 갈취하는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등 다양한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전송하여 이용자가 악성 앱 설치 또는 통화를 유도하여
     금융정보ㆍ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수법(보이스피싱, 전자상거래 사기 등에 악용)

최근 3년간 관계 당국에서 탐지한 문자결제사기 현황을 분석해보면, 공공기관 사칭 유형이 207만여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인 53.4%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추석 명절을 전후한 시점에 친지방문을 위한 교통량 증가와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증가하는 상황을 악용해 정부·지자체를 사칭해 과태료, 범칙금 부과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어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24년부터 단순 개인정보 탈취 유형에서 소셜미디어 및 e-커머스 계정탈취 유형이 증가하고 있어 계정 정보 입력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 계정탈취 유형 스미싱 탐지현황 : 2,402건(‘23년) → 602,319 건(’25.8월)

정부는 이번 추석 명절연휴 기간을 전후해 ❶교통법규 위반에 따른 범칙금 부과, ❷쓰레기 무단투기 확인에 따른 과태료 부과, ❸명절선물 택배 배송 조회 등을 사칭하여 고향방문에 들뜬 국민들이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악용하는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메시지가 다량 유포될 수 있고,

 * 문자결제사기(스미싱) 사례 : <붙임1> 참조

이와 같은 금융결제를 요구하는 사기문자 외에도 정상문자처럼 속인 후 전화나 메신저앱으로 유도해 금전이나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금융사기(피싱)*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스마트폰 문자확인, 사회관계망 등의 사용에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 휴대전화 고장, 신용카드 도난·분실, 사고 합의금, 상품권 대리 구매 등

특히, 유포된 미끼 문자 및 피싱 전화를 통해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개인정보 유출은 물론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 악성앱 설치를 방지하기 위한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 차단 방법 : <붙임2> 참조

정부는 다양화, 고도화되는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정부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이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문자결제사기 등 다양한 사이버사기에 대한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금융감독원 2025-09-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71 의료기기, 정식 허가받은 제품만 구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10.01
5270 식중독균 검출 수입 ‘냉동틸라피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10.01
5269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와 관련한 금융회사 사칭 스미싱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10.01
5268 교통사고 환자 유치를 통한 병,의원의 자동차 보험사기! 브로커의 은밀한 제안에는 단호하게 거절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10.01
5267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확인으로 안전하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09.29
» 정부, 추석 명절 연휴기간 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대응 수칙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9.29
5265 “역대급 추석 연휴, 민원 발생도 역대급?” 숙박업소 관련 ‘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5.09.25
5264 아세트아미노펜, 임신부는 의약전문가와 상의하고 복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09.25
5263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5.09.24
5262 코로나19 확산세 11주째 지속, 고위험군 보호 위해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09.23
5261 추석 연휴 성묘·벌초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5.09.23
5260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이상사례 해당 제품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5.09.23
5259 2차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URL이 없습니다.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09.23
5258 [추석 명절 택배 피해예방주의보] 택배운송서비스, 배송 중 파손·분실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5.09.23
5257 당신의 심장은 안녕하신가요 근무 환경 개선으로 급성심장정지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5.09.18
5256 추석 고향 가는 길, 먹거리 안전 유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5.09.18
5255 2030세대 대상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성행, 혼자가 된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5.09.18
5254 가을 산행길, 성묫길 ‘버섯 중독 사고’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5.09.16
5253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5.09.16
5252 세균수 초과 검출된 ‘영유아용 이유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9.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4 Next
/ 26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