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주요 식품용 기구들의 안전성 평가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캠핑용 금속제 및 목재류 조리기구 총 174건에 대해 납, 카드뮴, 비소 등을 분석*한 결과, 모두 규격에 적합했다고 밝혔다.
   * 야외용 식품 조리기구 등 안전성 조사 연구(2024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이번 분석은 최근 캠핑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캠핑용 조리기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에게 캠핑용 조리기구의 안전한 사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❶ 캠핑용 조리기구 납, 니켈, 비소 등 검사 결과

프라이팬, 냄비 등 금속 재질의 캠핑용 조리기구 78건(9품목)*을 대상으로 납, 카드뮴, 니켈 등 5종**을 분석한 결과, 검출량은 모두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에 따른 용출규격에 적합했다(붙임 1). 
   * 품목 : 그리들, 꼬치, 석쇠, 주전자, 냄비, 프라이팬, 수저·포크, 그릇, 컵
  ** 납, 카드뮴, 니켈, 6가크롬, 비소

또한 검출량을 바탕으로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체내 총 노출량을 평가한 결과, 일일섭취한계량*의 0.7%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 일일섭취한계량 : 어떤 물질을 평생 섭취해도 건강상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일 최대 섭취량으로, 100% 이하이면 안전한 수준

도마, 주걱 등 목재류 조리기구 96건(6품목)*에 대해 납, 비소, 이산화황 등 7종**을 분석한 결과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품목 : 그릇, 도마, 수저·포크, 볶음주걱, 컵, 목재그릴
  ** 납, 비소, 이산화황, 오쏘페닐페놀, 티아벤다졸, 비페닐, 이마잘릴

국내 유통되고 있는 금속제 및 목재류 재질의 캠핑용 조리기구는 대부분 안전한 수준이었으나, 식약처는 캠핑용 조리 기구의 재질에 따라 올바른 사용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❷ 캠핑용 조리기구 안전 사용법

(금속제) 프라이팬 등 금속제 조리기구는 표면이 손상될 경우 알루미늄 등 금속성분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날카로운 조리도구는 사용하지 않고 세척 시에도 부드러운 재질의 수세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처음 사용하는 프라이팬은 깨끗이 세척하고 식용유를 바른 후 가열하는 과정을 3~4회 정도 반복해 길들여 주면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소재로 만들어진 프라이팬은 구매 후 식용유를 묻혀 표면을 닦고 식초물로 끓인 후 주방세제로 세척하여 남아 있을 수 있는 연마제*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한다.
   * 금속의 표면을 깎거나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

(목재류) 목재류 재질의 그릇, 도마, 주걱 등은 표면 손상으로 틈이 생기게 되면 음식물이 잘 끼고 목재가 수분을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미생물*이 쉽게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목재류로 만든 캠핑용 조리기구는 사용 후 바로 세척하여 서늘한 곳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매할 때보다 목재가 물러지고 색이 어두워졌거나 세척 후에도 악취가 나면 교체해야 한다.
   *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오염시킨 목재 도마를 세척한 후 건조 시간에 따라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수를 측정한 결과, 2시간 이상 건조하면
      미생물이 약 98%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붙임 2)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식품용 기구 등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과학에 기반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7-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33 전자여행허가(ETA, ESTA) 신청 시 대행 사이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5.07.11
5132 식중독균 검출된 조미건어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5.07.11
» 캠핑용 조리기구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7.11
5130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5.07.11
5129 제주 여행, 항공·숙박·렌터카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5.07.10
5128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 URL 링크는 100% 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5.07.10
5127 소비기한 연장 표시 '과·채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5.07.10
5126 여름철 장관감염증 예방의 첫걸음 제대로 씻고 제대로 익히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5.07.09
5125 벤조피렌 초과 검출된 ‘향미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5.07.09
5124 무선충전기, 충전은 간편하게, 사용은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5.07.09
5123 기준치를 초과하는 카드뮴이 검출된 Ksubi 후드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5.07.08
5122 안전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5.07.08
5121 수은이 함유된 Goree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5.07.08
5120 질식 위험이 있는 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5.07.08
5119 질식 위험이 있는 Togetdream 아동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5.07.08
5118 현기증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HARIBO 젤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7.08
5117 부품탈락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있는 Ski-Doo 스노우 모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5.07.08
5116 화상 위험 및 화학용품 과다 용출된 코스프레용 의상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5.07.08
5115 질식 위험이 있는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5.07.08
5114 부품탈락 및 화학물질이 과다 함유된 아동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5.07.0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1 Next
/ 26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