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 접수되는 전자상거래* 의류·신변용품(이하‘의류 등’)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연말 판매 촉진을 위한 유통기업들의 대규모 할인 행사** 등으로 11월과 12월에 그 피해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국내·국제 온라인거래, 모바일거래 등 

  ** 예) 2024 코리아세일페스타(11. 9. ∼ 11. 30. 예정) 


□ 청약철회 관련 피해가 절반 가까이 차지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전자상거래로 거래된 의류 등의 피해 사례(11,903건)를 피해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청약철회 거부가 5,078건으로 42.7%에 달했다. 품질 미흡 및 계약불이행까지 포함할 경우 전체의 88.5%(10,528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3년간 월평균 피해구제 신청(992건) 대비 11월과 12월의 평균 신청 건수는 1,224건으로 23.4%(232건) 높고, 매해 유사한 추세를 보이는 점에 비추어 올해 연말에도 관련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전자상거래로 구입했다면 7일 이내에 청약철회 가능 

소비자가 온라인거래로 제품을 구입했다면 청약철회 가능 기간을 축소하거나 제품 수령 당일을 포함해 7일을 계산하는 등 사업자가 청약철회를 제한하더라도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제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수령 당일 제외)에 청약철회가 가능하다. 


□ 주요 청약철회 제한·방해 사례 카드뉴스로 제작·배포

한국소비자원은 의류 관련 등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예방과 불합리한 거래 관행 개선을 위해 주요 청약철회 제한·방해 사례를 카드뉴스로 제작해 배포했다. 

카드뉴스는 할인 상품, 특정 소재·색상 제품의 청약철회를 거부하거나 청약철회 기간을 임의로 제한하는 등 의류 전자상거래상 대표적인 청약철회 제한·방해 유형 9개 항목과 각 사례를 담고 있다.


[ 대표적인 청약철회 제한·방해 표시광고 유형 ]

 ▲ 청약철회 기간 제한, ▲ 청약철회 조건 제한, ▲ 특정제품 청약철회 방해, ▲ 하자제품 청약철회 제한, ▲ 제품 고유 냄새 관련 청약철회 방해, ▲ 주문제작제품 청약철회 제한 조항 오사용, ▲ 해외 배송제품의 과도한 반품배송비 부과, ▲ 부당 위약금 청구, ▲ 택(Tag) 훼손 시 반품 거부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카드뉴스를 기관 누리집(http://www.kca.go.kr)과 소비자24 (http://www.consumer.go.kr) 등에 게시하고, 쿠팡(주), ㈜지마켓, 11번가(주) 등 주요 통신판매(중개) 사업자에게 제공하여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한 적극 협조를 요청했다.

  

아울러 피해다발업체의 불법·부당행위가 근본적으로 시정될 수 있도록 관할 행정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사업자의 자율적 시장개선 권고 등 소비자피해 확산 차단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24-11-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연말 대규모 할인기간 내 의류 구매 시 청약철회 거부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4.11.04
4705 '기억력 개선', '집중력 향상' 효과 표방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4.10.30
4704 ‘멕시코 회사채 투자’로 고수익 실현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는 불법 금융투자업자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4.10.30
4703 해외직구 어린이용 우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최대 476배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4.10.28
4702 ‘㈜트렌드헌터’ 계약이행 중단에 따른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4.10.28
4701 피해다발업체 - 농수산물유통센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4.10.28
4700 오픈마켓 경유 SPTIME 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4.10.28
4699 직거래/중고거래 유인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4.10.24
4698 바쁜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10.23
4697 고령자, 해외여행 출발 전 건강 사유로 인한 위약금 분쟁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4.10.23
4696 표시사항 미흡한 BANG 물고기 유인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4.10.22
4695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후쿠타로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4.10.22
4694 소형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Fisher-Price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4.10.22
4693 납이 과도하게 함유된 와이파이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4.10.22
4692 낙상 위험이 있는 BROMPTON 자전거 자발적 리콜(무상 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4.10.22
4691 낙상 우려가 있는 Focus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4.10.22
4690 기준치를 초과한 비타민을 함유한 Aavalab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4.10.22
4689 기준치를 초과한 납이 함유된 Evergrate 세라믹 강판 접시/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4.10.22
4688 기준치를 초과하는 니트로사민이 함유된 Rubbabu 완구(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4.10.22
4687 기준치를 초과하는 니트로사민이 함유된 Rubbabu 완구(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4.10.22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