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당뇨병 전단계까지 포함하면 전체 성인의 절반 이상(54.9%)이 관리 필요하며,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는 경우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 다양한 합병증 발생

 -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당뇨병 환자라는 것을 몰라(당뇨병 인지율 66.6%, 치료율 62.4%)

 - 당뇨병은 ‘생활습관병’인만큼 균형잡힌 식사요법, 규칙적인 운동 및 체중관리, 금연·절주, 정기적인 혈당 측정 등을 통해 예방과 조절 가능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세계 당뇨병의 날(11.14.(화))*을 맞아, 당뇨병 질병 부담 및 관리 현황을 소개하고, 예방관리를 위한 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세계 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 : 전세계적으로 늘어나는 당뇨병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당뇨병연맹(IDF)이 공동으로 제정한 기념일로, 이후 국제연합(UN)에서 각국 정부에 대해 당뇨병의 예방, 관리 및 치료,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범국가적인 정책을 시행하도록 촉구하면서 국제적인 캠페인으로 정착 

당뇨병은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떨어져 고혈당을 비롯, 여러 증상 및 합병증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현재 약 6백만 명이 앓고 있는 주요 만성질환(’21년 기준 유병률 13.6%)이며, 당뇨병 전단계(유병률 41.3%)까지 포함하면 전체 성인의 절반 이상이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최근 2030세대 건강행태 악화 등 요인으로 젊은 연령군에서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뇌졸중, 심근경색증, 만성콩팥병, 망막병증, 신경병증, 발기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이러한 당뇨병 합병증은 환자의 삶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의료비 등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혈압에 이어 단일상병 기준 진료비 지출이 두 번째로 높으며*, 진료 환자 수와 진료비 등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진료비 지출 : 본태성고혈압(3.7조원) > 당뇨병(2.4조원) > 만성신장병(2.2조원) 순
 ** 당뇨병 진료환자수(천 명) : (’18) 3,047 → (‘22) 3,692 (21.1% 증가)당뇨병 진료비(억 원) : (‘18) 24,742 → (’22) 34,169 (38.1% 증가)

또한 당뇨병은 조기사망과 장애로 인한 질병부담*이 우리나라에서 허리와 목의 통증, 뇌혈관질환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 미국 워싱턴대학교 건강영향측정평가연구소(IHME)의 우리나라 질병부담 조사(‘07~’17)

한편, 당뇨병 인지율은 66.6%, 치료율은 62.4% 수준으로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당뇨병 환자라는 것을 모르고, 치료를 받고 있지 않다.

당뇨병은 초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으로 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스스로의 혈당을 바로 알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선별검사는 40세 이상 성인이거나 위험인자가 있는 20세 이상 성인은 매년 시행하는 것이 좋고, 일반인의 경우에는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매 2년마다 1회, 혈당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당뇨병은 ‘생활 습관병’이라고 불리는 만큼 체중관리, 운동하기, 적게 먹기, 금연하기, 절주하기, 스트레스 덜 받기 등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 및 조절이 가능하다. 


나와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당뇨병 예방관리 5대 수칙」은 다음과 같다.

1.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식사 조절과 신체활동량을 늘려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하도록 한다. 적정 허리둘레 목표는 남성은 90cm, 여성은 85cm이다.

2.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활동을 늘립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운동으로 최소 2일에 한 번씩, 일주일에 3번 이상 시행한다. 숨이 약간 찬 느낌이 있으나, 말을 할 수 있는 정도(중강도)로 하루에 30분 이상 시행한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과 후에 반드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시행한다.

3. 균형 잡힌 식단으로 골고루 제때에 식사합니다.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 기름이 많은 고기는 삼간다. 생선과 들기름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한다. 튀기는 대신 삶거나 굽는 요리방법을 이용한다. 미네랄 및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과 야채가 많이 포함된 식단을 이용한다.

4. 좋은 생활 습관을 기릅니다.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이며, 숙면을 취한다. 나만의 스트레스 관리법을 찾아 즐겁게 생활한다. 금연을 반드시 실천하며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적정 음주량은 해당 주류 잔으로 남자는 하루 2잔 이하, 여자는 1잔 이하이며 과도한 음주는 피한다.

5.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위험 인자를 확인합니다

국가검진을 반드시 받고 암 검진도 적극적으로 받는다. 40세 이상이거나 비만인 경우에는 더 자주 받고, 40세 미만일 경우에도 위험 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1년에 1회 이상 검진을 받는다. 검진을 필요로 하는 위험요인은 과체중 또는 복부비만인 경우, 가족 중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과거 검진에서 혈당이 ‘비정상’으로 나온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나 4kg이상의 거대아 출산력이 있는 경우,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심뇌혈관질환을 동반한 경우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으로 그간 후순위였던 비감염성질환(NCD)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만성질환을 공통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예방관리 수칙 실천을 통해 당뇨병과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질병관리청은 당뇨병 지속치료 및 자가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등록관리사업 운영 및 교육자료 개발, 조기인지를 위한 대국민 캠페인 실시, 조사·감시체계 운영, 과학적 근거 생산을 위한 연구 수행 등을 통해 당뇨병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당뇨병 예방관리 5대 생활수칙」은 리플릿으로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국가건강정보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 : https://www.kdca.go.kr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 질병관리청 2023-11-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33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11
13132 유행지역 장내기생충 감염률 감소 추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7
13131 코로나19 신규백신, 65세 이상 접종률 30% 달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7
13130 취약계층 통신요금 감면 혜택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6
13129 동물용의약품 올(All)바르게, 판매자도 구매자도 모두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13
13128 국가전문자격시험에 공인어학성적 최대 5년까지 활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8
13127 2023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8
13126 관세청, 「#해외직구 바로하기 캠페인」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7
13125 11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8
» 질병부담 3위 당뇨병 예방관리,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9
13123 건강보험 가입 자립준비청년 의료비 부담 대폭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13
13122 찾아가지 않은 금융자산 “17.9조원”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7
13121 2023년 3/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9
13120 질병관리청, 「빈대 정보집」 개정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11
13119 가맹점주 피해 자진 구제 시 과징금 감경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5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