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본부, 국내 발생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아

- 실험동물에 쉽게 감염되지 않지만 변이여부 계속 분석 예정-


◇ H5N6형 AI 바이러스의 족제비 감염실험으로 병원성이 낮음을 직접 확인
- 감염력이 약하며, 개체간에 바이러스 전파 감염도 거의 일어나지 않음
- 인체감염 위험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측한 유전자 분석결과와 일치
◇ 계속 변이되는 것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일반적 특징이므로 국내외 협력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인체감염 위험성을 분석 할 계획임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 및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은 우리나라 가금류에서 분리된 H5N6형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를 실험용 족제비에 인위적으로 감염시킨 결과 인체감염 위험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및 전파력이 매우 낮음을 직접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 H5N6형 AI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립보건연구원 실험동물 3등급 생물안전 실험실에서 바이러스를 족제비에 직접 감염시킨 결과,

○ 뚜렷한 체온변화나 체중감소가 없었고, 콧물이나 재채기 등 전형적인 호흡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 기관지 및 폐 등의 각종 장기에서 바이러스 감염 양상이 매우 약한 것을 볼 때, 국내 유행 H5N6형 AI 바이러스는 족제비에서의 병원성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이는 저병원성으로 확인된 2014년 H5N8형 (부안주/고창주) 및 2010년 H5N1형 (천안주) 국내 분리주의 족제비에 대한 감염 위험도와 유사함.


□ 아울러, H5N6형 AI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감염될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감염 전파력을 분석한 결과, 공기(비말) 감염뿐 아니라 족제비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바이러스의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족제비 감염실험 결과가 지난해 11월 H5N6형 AI 바이러스의 최초 발생 직후 유전자 특성을 분석하여 인체감염 위험성이 매우 낮다고 예측한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 또한, 국내에서 확인된 H5N8형 및 H7N9형 AI 바이러스 (야생조류 분변)의 유전자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 H5N8형 AI바이러스는 인도, 러시아, 중국, 스웨덴 등지의 야생조류 분리주의 유전자 계통과 유사하며, 2014년 족제비 감염실험에서 저병원성으로 확인된 H5N8형 AI 바이러스(고창주)와 인체감염 위험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및 아미노산이 동일하며,

○ 2016년 국내 야생철새 분변에서 확인된 H7N9형 AI바이러스는 중국 등에서 보고된 인체감염 분리주와 유전자 계통이 다르고, 인체감염 위험성 증가와 관련된 주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따라서, 질병관리본부는 지금까지의 동물 감염실험 및 유전자 특성 분석 결과를 볼 때,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6형 및 H5N8형 AI바이러스와 야생조류에서 확인된 H7N9형 AI 바이러스가 조류에서 직접 사람에게 감염될 위험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 다만, 중국에서는 H5N6 AI에 의한 인체감염 사례가 보고되었고, 특히 H7N9의 경우 2013년 이후 5번째 유행이 나타나는 등 가금류 및 야생조류에 직접 노출력이 있는 환자발생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 중국과 같은 인체감염사례가 이미 보고된 국가로 여행 시 생가금류 시장, 재래시장 및 야생철새 도래지 등 조류와 접촉이 예상되는 장소는 가급적 방문하지 말아줄 것을 재차 권고하였다.
* : `17. 2. 18 기준 중국 AI(H7N9) `16-`17절기 인체감염 환자 : 총 429명(홍콩보건부), 1월까지 사망 99명 보고(중국 위생위).
* : 중국 AI(H5NA6) 인체감염 환자는 `13년부터 총 17명 보고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H7N9 등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이 ‘17년 상반기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 포함된 만큼 AI 인체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5대 국민행동 수칙’ 준수를 포함하여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계속 변이를 거듭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국내외 관련 기관과 협력을 통하여

- 현재 유행하고 있는 AI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 및 인체감염 위험성 증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 H7N9 인체 분리주의 감염 특성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7-03-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3 식약처, 월드비전과 업무협약 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2
3712 농관원, 학교급식 농산물 산지에서부터 안전관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63
3711 정신질환 의료급여 수가 체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60
» 질병관리본부, 국내 발생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9
3709 동남아 여행 시 설사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6
3708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66
3707 학교 성폭력 민원, 초등학교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86
3706 위법행위와 관련 없는 인수업체에 부과한 과징금 취소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9
3705 “회수 가능한 대금을 부실 자산으로 본 것은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92
3704 개인용 소변분석기에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70
3703 2017년 화훼 소비 활성화 대책 본격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75
3702 구제역․AI 발생 동향 및 방역 추진 상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3701 미국산 병아리, 계란, 닭고기 수입금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6
3700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3699 금융꿀팁 200선 - ETF 투자시 유의사항 8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104
Board Pagination Prev 1 ...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