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의 A형간염 환자 발생

◇ 조개류는 익혀먹고,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 준수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올해는 A형간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21년 11주(3.7-3.13) 이후 주당 100명 이상의 환자가 지속적으로 신고되면서 ’20년 동기간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환자가 신고되었고, 특히 30주(7.18-7.24.) 이후부터는 20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환자가 보고되고 있다.



<주별 A형간염 환자 신고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올해 상반기에 경기, 서울, 인천 등 수도권의 발생이 많았던 반면, 최근엔 충남, 충북 등 충청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증가하였고*,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는 충남, 경기, 인천, 제주, 충북, 서울 순이다.**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1,868명, 서울 1,044명, 인천 416명, 충남 326명, 충북 175명


   **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 : 충남 15.3명, 경기 14.2명, 인천 14.1명, 제주 13.5명, 충북 10.9명, 서울 10.7명


 ○ 신고된 환자는 30~49세가 많은데*, 이는 ’70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위생상태 개선으로 어린 시절 A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기회가 적었고, 예방접종도 받지 않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1,834명(39.1%), 30대 1,375명(29.3%), 50대 670명(14.3%), 20대 457명(9.7%), 기타 연령 354명(7.5%)


□ A형간염은 오염된 물이나 식품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고,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하며,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거나 껍질을 벗겨먹는 등 위생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질병관리청은 익히지 않은 조개류의 섭취는 A형간염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A형간염 예방을 위해 조개류는 반드시 90℃ 이상에서 4분 이상 충분히 익혀 섭취할 것을 권고하였다.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二枚貝類))의 소화기관 (중장선(中腸腺))에는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또한, A형간염은 백신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특히 항체보유율이 낮은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그림 붙임 참조>, 출처: 국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 연구 조사, 질병관리청, 2020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올해 A형간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조개류는 반드시 익혀먹고,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A형간염 예방수칙 >


undefined

1. 조개류 익혀먹기

2. 안전한 물 마시기

3. 요리 전식사 전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5. 20-40대는 예방접종 받기

6.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 질병관리청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34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4 2015.08.03
2833 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7.28
2832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중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5 2017.07.07
2831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8.11
2830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06.25
2829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6.14
2828 여름철, ‘콘택트렌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7.26
2827 여름철 휴가, 물놀이 사고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7.28
2826 여름철 캠핑용품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1.07.20
2825 여름철 제모 후 피부염, 화상 등 부작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0 2017.07.06
2824 여름철 잦은 호우, 빗길 교통사고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7.05
2823 여름철 이례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개인위생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7.25
2822 여름철 영유아의 눈곱을 동반한 감기 증상,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22
2821 여름철 야외 물놀이 시, 물에 빠짐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7.06
2820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에 의한 식중독 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6
2819 여름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7.22
2818 여름철 안전사고 이렇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7.16
2817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6.21
2816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8.01
2815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9.08.20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