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7년 여름, 홍콩․대만에서 인플루엔자 유행 중이며 사망자 다수 발생
◇ 홍콩과 대만 여행 시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기침 예절 및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등
◇ 귀국 후 입국시 발열 및 기침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거나, 귀가 후 증상 발현 시 의료기관 방문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홍콩과 대만에서 계절 인플루엔자가 유행하여, 홍콩, 대만 여행객에게 인플루엔자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 홍콩에서 인플루엔자가 2017년 5월 중순에 유행이 시작되어 최근 2주간 최고조를 보이고 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6월 넷째 주(26주, 6/25~7/1) 외래환자 1,000명당 10.6명 , 7월 첫째 주(27주, 7/2~7/8) 9.3명이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란
   -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경우

   - 2017년 5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인플루엔자로 인해 중환자실에 입원하였거나 사망한 성인은 270명(사망자 183명)이었다.
     * 같은 기간 동안 소아의 인플루엔자 관련 합병증은 13명으로 이중 사망은 3명임

○ 대만도 2017년 6월초부터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 6월 넷째 주(26주, 6/25~7/1) 인플루엔자 외래환자 중 의사환자는 2.15%, 7월 첫째 주(27주, 7/2~7/8) 1.97%, 7월 둘째 주(28주, 7/9~7/15) 1.94%이었다.
   - 28주(7/9~7/15) 중증 합병증이 동반된 인플루엔자 확진 환자수는 110명, 사망자는 11명이었다.
       * 27주(7/2∼7/8)는 중증 합병증 동반 인플루엔자 확진 124명, 사망 11명임

○ 홍콩과 대만에서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발생하는 A(H3N2)형이었다.

○ 한편, 국내 인플루엔자 발생현황은 27주(7/2~7/8)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5.8명으로 유행기준*보다 낮게 발생하고 있다.
       * 2016-2017절기 유행기준은 외래환자 1,000명당 8.9명

                         <국내 인플루엔자 유사환자 분율>

□ 질병관리본부는 홍콩과 대만 여행시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입국 시 인플루엔자 의심증상(발열, 기침, 인후통 등)이 있을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 신고하거나, 귀가 후 증상 발현 시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것을 안내하였다.

 ○ 국립검역소는 입국장게이트 발열감시를 강화하고, 홍콩․대만 출국자 대상으로 외교부와 협조하여 현지 도착 시 인플루엔자 감염주의  SMS 홍보를 시행 중에 있으며, 입국 항공기 대상으로 기내 안내방송을 통해 인플루엔자 예방 안내를 실시하고 있다.

○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여행 후 문의사항이 있으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이용하도록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는 365일 24시간 운영중임



[ 보건복지부 2017-07-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086 휴가철, 렌터카 사고 시 수리비·면책금 과다 청구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4.07.16
5085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0 2016.08.08
5084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5 2018.07.25
5083 휴가철 맞이하여 어린이·청소년 물놀이 안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6 2017.07.19
5082 휴가철 등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9 2018.07.09
5081 휴가 절정기, 안전수칙 지켜 안전하게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2 2018.08.02
5080 훈제건조어육 가공품 일부 제품, 벤조피렌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6 2019.07.18
5079 후지필름의 'EF-X500' 플래시', 펌웨어 업그레이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36 2017.04.18
5078 후방센서 작동 불량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 차량 무상수리 보증기간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5.23
5077 후방 디스크 브레이크 구멍에 손가락 부상 위험 있는 UPPAbaby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2.10.18
5076 효모 혼입 가능성이 있는 초코 간장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4.08.06
5075 효모 함유되어 피부 염증 가능성 있는 유아용 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3 2020.08.24
5074 회원가입만 하면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유사수신업체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0 2018.07.31
5073 회로판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Russound 컨트롤러 앰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3 2023.12.18
5072 황색포도상구균 오염 가능성 있는 NutriPur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6 2021.12.01
5071 황색포도상구균 검출된 '치즈케이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22.03.25
5070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4 2017.06.01
5069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빙과류'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8.08.17
5068 환자안전사고,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7 2018.10.25
5067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경보 제도가 시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6 2017.11.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6 Next
/ 25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