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 중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정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 부처, 지자체와 공유해 적극적인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국민들에게는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 설) 2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사례를 보면 자연재해 발생빈도는 비교적 낮지만, 최근 10년(‘07~‘16)간 대설로 인한 재산피해는 596억 원으로, 12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였다.

행정안전부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비해 폭설안전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선수촌 입·퇴촌 기간을 고려한 제설 집중대책기간*을 운영하고 재난·사고에 대비해 민·관·군** 지원체계를 강화하였다. 특히, 올림픽 수송로(702.3km), 경기장 등에 대해서는 전담제설반을 구성·운영하고, 제설장비·자재* 등의 추가 확보 및 취약구간** 전담차량 배치, 우회도로 지정 등 제설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화 재) 2월은 1년 중 세 번째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설 명절(2.15.~2.17.)을 앞두고 많은 사람이 몰리는 전통시장과 명절 음식 장만 등을 위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위험이 높다.

소방청은 전통시장을 등급화*해 위험 등급은 소방특별조사를 실시 및 대형화재 취약대상**은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화재위험도와 화재 환경을 반영한 화재경계지구***를 재정비하고 있다. 또한, 최근 계속되는 한파에 난로 등의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고온 장시간 사용을 금하는 등 화재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해빙기 안전사고) 해빙기에는 계절이 바뀌면서 땅 속 수분이 녹아 지반이 약해져 건설현장, 사면, 노후주택, 옹벽·석축 등 시설물 붕괴, 전도, 낙석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행정안전부는 해빙기 안전사고에 대비해 유관기관(경찰, 소방, 가스, 전기 등)과의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옹벽·석축 등 위험 시설물에 대한 표본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도로교통사고) 2월은 도로교통사고 건수는 대체로 적지만, 명절 전 물류이동증가와 설 연휴 귀성객 등으로 차량 이동이 증가하면서 사고 위험도 높다. 장시간 이동 전에는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 좌석 안전띠를 착용하는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가축질병, AI) 지난 ‘17.11.19.부터 발생한 고병원성 AI(에이아이)는 총 16건*으로 과거에 비해 일부지역에서 제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행안부는 AI 확산 억제를 위해 「정부합동 AI 긴급현장대응단」 가동, 거점소독시설 확대, 3단 방역체계(거점→이동통제초소→농가) 구축 등으로 수평전파를 차단하고, 이동통제초소 확대·운영 등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서도 추가지원 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AI발생 위험도가 높은 철새도래지 등 8대 방역취약 중점관리대상*을 설정해 관리를 강화하는 등 AI의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적 방역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오리에 대해서는 도압장(도축장) 검사 횟수 증가(도축장별 10%→30% 정밀검사), 사육제한 지원사업 확대* 등 방역조치를 강화하였다. 특히,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지역은 AI 발생지역의 가금 반입을 전면 금지하고, 소독시설 확대 운영(24개소), 전통시장에서 살아있는 가금 유통 금지, AI특별방역단(농림축산검역본부 6개반 12명) 투입, 소규모 가금농가 대상 예방적 수매·도태* 등을 시행하고 있다.

(가 뭄) 최근 1년(‘17.1.24.~‘18.1.23.) 동안의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 (1,307.7㎜)의 75%(979.5㎜)수준이며, 2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보되고 있다.

농업용수 가뭄은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71%)이 평년(78%)의 91% 수준으로 저수율이 낮은 일부 남부지방은(전남, 경남) 가뭄이 지속될 전망이다.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은 전국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45.1%)이 평년(46.7%)과 비슷한 수준이나, 남부지방 중심으로 댐의 저수량이 적은 상황이다.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상수도 제한급수 지역(완도군) 및 운반급수 지역에 대해 매주 점검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물 절약 교육·홍보와 영농기 전에 배수로 및 논 물가두기 등의 선제적인 용수확보대책을 추진 할 계획이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2월에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해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 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0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53 때 이른 무더위,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6.24
2152 기계톱 안전사고, 60대 이상 고령층에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2151 가전제품 쇼핑몰 미도파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6.24
2150 렌터카, 차량 사고 시 수리비 등 과다 청구로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06.22
2149 무신고 수입.제조일자 변조 식품첨가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1.06.22
2148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6.21
2147 고기에서 혈관이 나온다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1.06.21
2146 불법사금융 이제 그만! 불법대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06.21
2145 유아동용 부력 보조복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17
2144 물놀이 안전수칙 정보무늬(QR코드)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6.16
2143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6.16
2142 필립스코리아 '개인용 인공호흡기', '양압지속유지기' 위해 정보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6.14
2141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6.14
2140 변덕스러운 여름 날씨, 산행 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1.06.10
2139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09
2138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08
2137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에 따른 예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06.08
2136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06.08
2135 종신보험은 사회초년생의 목돈 마련에 적합하지 않습니다!_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06.08
2134 만트럭버스코리아(주) 덤프트럭 1,868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