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로나19 환경의 장기화로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 시 태블릿·노트북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 등 관련 주변용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스마트기기 주변용품 42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태블릿 케이스 22개, 이어폰 10개, 헤드셋 10개
□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3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검출
합성수지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은「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합성가죽 등 그 외 재질에 대한 안전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부속서 24(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9-352호)
시중에 유통 중인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에 대해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을 적용ㆍ준용한 안전성 시험검사 결과,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10개 중 3개 제품(30.0%)에서 준용 기준(0.1% 이하)을 최대 169배(13.6% ~ 16.9%)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또한 이 중 1개 제품에서는 납이 동 준용 기준(300mg/kg 이하)을 11배(3,396.7mg/kg) 초과하여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이 검출된 3개 사업자는 국내기준은 없으나 소비자안전 확보를 위해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 시 교환·환불 등 자발적 시정을 하기로 회신함.
[ 태블릿 케이스 유해물질 검출현황 ]
 
제조·수입자명제품명색상재질시험항목검출량
㈜코시7형 태블릿 PC 케이스 키보드(KB1216CS)블랙합성
가죽

[준용기준: 300mg/kg 이하]
3,396.7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준용기준: 총합 0.1% 이하]
13.6
주식회사 유비코퍼레이션ip Air 4
(아이패드 에어4세대 크로스 레더 케이스)
브라운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준용기준: 총합 0.1% 이하]
16.9
㈜비즈모아코리아갤럭시탭4 Advanced 10.1 T530/536 회전케이스레드14.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 정자 수 감소, 여성 불임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침.
  • :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 식욕부진, 빈혈, 근육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음.

원격수업·온라인 영상 시청이 빈번해지면서 스마트기기 및 주변용품의 사용연령대가 성인부터 어린이까지 넓어지고 있어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재질별 관리기준이 달라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등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유럽연합(EU)은 피부 접촉이 이루어지는 모든 소비재에 유해물질 안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 적용 범위를 합성가죽 등 피부 접촉 부위에 합성수지가 코팅된 제품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 대부분 표시 미흡
재질에 따라 스마트기기 주변용품에 대한 표시기준 유무가 달라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을 적용ㆍ준용하여 정보제공 여부를 확인한 결과 조사대상 42개 중 36개 제품(85.7%, 태블릿 케이스 19개, 이어폰 8개, 헤드셋 9개)은 관련 표시를 일부 누락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 적용범위 확대, ▲스마트기기 주변용품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안전이슈/위해정보 처리속보 2021-08-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13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10.08
2312 머리 보호 기능이 미흡한 TurboSke 어린이용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10.08
2311 가을철 야외활동, 쯔쯔가무시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10.08
2310 단풍철, 산행 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10.07
2309 안전성 미흡한 Denver 어린이용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1.10.07
2308 카드뮴 기준 초과한 The Witcher Wild Hunt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10.07
2307 세균에 오염된 Creathek 물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10.07
2306 표시사항 기준에 부적합한 Char-Broil 그릴세척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1.10.07
2305 표시사항 기준에 부적합한 Char-Broil 그릴세척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10.07
2304 다이어트약 등 해외 의약품 온라인 구매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0.07
2303 휴대폰 사기 판매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8 2021.10.05
2302 '식품안전나라', 반응형 웹 개편으로 편리하게 식품정보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1.09.30
2301 주식신용거래에 따른 투자위험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28
2300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9.17
2299 가을철, 진드기 및 쥐와도 거리두기를 실천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6
2298 누드본즈 / NUDEBONE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6
2297 동영상으로 알기 쉽게 배우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6
2296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쏘임 등 독성생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9.15
2295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5
2294 A형간염 지속 발생으로 예방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1.09.15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