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6월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 발생(59(),간 질환자,인천 거주)

◇ 어패류 익혀먹기바닷물 접촉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6월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어 우리 국민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환자는 B형간염을 동반한 간경화를 기저질환으로 앓고 있으며, 현재는 항생제 치료로 패혈증은 회복된 상태이며, 환자의 위험요인 노출력 등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중이다.

 ○ 비브리오패혈증은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알코올중독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6월~10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 올해 3월 전라남도 여수시 해수에서 첫 번째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분리된 후 전남, 경남, 인천, 울산의 해수에서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는바 비브리오패혈증 발생도 지속될것으로 예상된다.

□ 질병관리본부는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 국민이 일상생활 또는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알리고 이를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아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 첫째,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둘째,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셋째,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보건복지부 2018-06-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81 처방약 성분 함유한 Taisho 패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9.08
3780 화재 우려 있는 Vevor 페인트 분사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3.09.08
3779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3.09.08
3778 감전 위험 있는 Fluke 전압테스트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3.09.08
3777 낙상 우려 있는 Woom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9.08
3776 유해 성분 함유된 Flytrap 해충퇴치제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9.08
3775 납 성분 과다 함유된 접이식 미니 선풍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3.09.08
3774 카드뮴 과다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의 SHEN 물고기 샌들(슬리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9.08
3773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3.09.08
3772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3.09.08
3771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9.08
3770 GS SHOP 사칭 쇼핑몰 아르바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9.08
3769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3.09.07
3768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9.07
3767 구성 불량으로 화재발생 우려 있는 Vevor 플라즈마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3.09.07
3766 납 성분 검출된 Kid Casters 어린이 낚시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3.09.07
3765 라벨 미표기 성분(디하이드로라타노프로스트) 함유된 RefectoCil 속눈썹 세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3.09.07
3764 제품 개폐 시 화상 위험 있는 PowerXL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3.09.07
3763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23.09.07
3762 기울기가 가파른 문제로 낙상 우려 있는 CaTeam 유아용 해먹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56 Next
/ 25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