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신고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환자 147명 중 110명(74.8%) 동남아 방문
   * 장티푸스 환자 68명 중 40명(58.8%), 세균성이질 환자 79명 중 70명(88.6%)
◇ 동남아시아 지역 여행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음식 익혀먹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8년 신고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환자가 전년 대비 급증*하고(2018.2.26.기준), 이 중 74.8%(110명)가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지역을 방문할 때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장티푸스 : ’17년 14명(국내발생 9, 해외유입 5) → ’18년 68명(국내발생 27, 해외유입 41)
    * 세균성이질 : ’17년 24명(국내발생 2, 해외유입 22) → ’18년 79명(국내발생 9, 해외유입 70)


< 해외 여행자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익혀먹기
  • 물과 음료수 마시기
  • 음식 먹기 않기
  • 채소는 먹기 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먹기

 

 
  ○ 제1군 법정감염병인 장티푸스는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으로 균 감염 3일~60일 후 고열, 두통, 변비 또는 설사, 장미진(장미빛 반점), 비장 비대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00~300명 정도 발생한다.

   - 2018년 2월 26일 현재 장티푸스 신고환자 68명의 역학조사서를 확인한 결과, 40명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후 고열, 두통,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 세균성이질 또한 제1군 법정감염병으로, 이질균(Shigella spp.) 감염에 의한 급성 장관 질환이고, 균 감염 12시간~7일 후 발열, 구토, 복통, 수양성 또는 혈성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00~300명 정도 발생한다.

   - 2018년 2월 26일 현재 세균성이질 신고환자 79명의 역학조사서를 확인한 결과, 70명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후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 질병관리본부는 동남아시아 여행 후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콜레라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유입을 방지하고 국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여행 중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길거리 음식 먹지 않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과일‧채소는 먹기 전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 귀국 후 공항에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검사를 받고, 결과 통보 시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자제하도록 한다.

 ○ 입국 후 발열, 설사, 복통과 같은 장관 감염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도록 한다.

□  또한, 동남아시아 여행 후 발생한 설사 감염병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에서는 지체 없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우리 국민이 질병 정보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을 경우,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문의하면 된다.



[ 보건복지부 2018-0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87 “추석 명절 항공권,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3.09.18
3786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3.09.15
3785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3.09.14
3784 집에서 직접 치아교정? 거짓.과대 광고 제품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3.09.12
3783 감전 위험 있는 One step 에어브러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9.08
3782 방향 제어 기능 상실할 수 있는 Raymarine 오토파일럿 시스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3.09.08
3781 처방약 성분 함유한 Taisho 패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3.09.08
3780 화재 우려 있는 Vevor 페인트 분사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9.08
3779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3.09.08
3778 감전 위험 있는 Fluke 전압테스트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9.08
3777 낙상 우려 있는 Woom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9.08
3776 유해 성분 함유된 Flytrap 해충퇴치제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3.09.08
3775 납 성분 과다 함유된 접이식 미니 선풍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3.09.08
3774 카드뮴 과다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의 SHEN 물고기 샌들(슬리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3.09.08
3773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3.09.08
3772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3.09.08
3771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3.09.08
3770 GS SHOP 사칭 쇼핑몰 아르바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3.09.08
3769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3.09.07
3768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3.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56 Next
/ 25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