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2019년 6월 4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 발생(57세(남), 서울 거주)
◇ 어패류 익혀먹기, 바닷물 접촉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6월 4일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 환자가 확인되어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환자는 당뇨병을 기저질환으로 앓고 있으며, 현재는 항생제 치료로 패혈증은 회복된 상태이며, 환자의 위험요인 노출력 등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중이다.

 ○ 비브리오패혈증은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2018년 비브리오패혈증 발생현황: 환자 47명, 사망자 20명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알코올중독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6월~10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 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 올해 1월 전남 영광군 법성포구, 함평군 월천포구 및 제주시 산지천 해수에서 첫 번째 비브리오 패혈균이 분리된 후 울산, 여수, 통영, 제주 해수에서도 검출되고 있는 바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 또는 어패류 관리나 조리시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보건복지부 2019-06-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3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18~2016.11.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7 2016.11.28
383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28~2016.1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8 2016.11.07
383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14~2016.10.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50 2016.10.24
383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6~2015.11.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04 2015.11.16
383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20~2015.11.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4 2015.11.30
382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4.7. ∼ 2017.4.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1 2017.04.17
382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4.14. ∼ 2017.4.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0 2017.04.24
382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3.24.∼2017.3.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6 2017.04.03
382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3.17.∼2017.3.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9 2017.03.27
382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2.3.∼2017.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3 2017.02.13
382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2.10.∼2017.2.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6 2017.02.20
382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1.20.∼2017.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2 2017.02.06
382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1.2.∼2017.1.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4 2017.01.09
382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9.∼2016.9.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6 2016.09.26
382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2.∼2016.9.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1 2016.09.12
381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5.∼2016.8.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9 2016.08.16
381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26.∼2016.9.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9 2016.09.05
381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19.∼2016.8.2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5 2016.08.29
381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12.∼2016.8.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24 2016.08.22
381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7.29.∼2016.8.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4 2016.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