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요부품이 변경되어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다고 확인된 LED 등기구 43개, LED 램프 8개 제품이 보상(리콜)명령 조치됨
 
ㅇ 국가기술표준원(원장:성시헌)은 LED등기구, LED램프, 코드, 절연전선, 케이블 등 196개 전기용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51개 제품에 대하여 리콜명령을 내림
 
* 제조(수입,판매)업체와 모델명은 별첨
 
□ 리콜명령한 51개 제품의 결함내용은 다음과 같음
 
ㅇ LED등기구와 램프 51개 제품 대부분은 사업자가 가격경쟁력 등의 이유로 주요부품(컨버터, 전류퓨즈 등)을 변경하거나 누락한 채 제조하여 사용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LED등기구 22개 제품은 발광부를 보호하는 등기구 커버가 손으로도 쉽게 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시 감전의 위험이 있음
 
* 충전부가 신체에 접촉되면 감전될 수 있으므로, 충전부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해서 열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함

- LED등기구 12개 제품은 주요부품이 내장된 케이스(외곽)에 감전보호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제품에 사람의 손이 닿으면 감전될 수 있음
 
ㅇ LED램프 2개 제품은 발광부의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화재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번 조사 결과 불법·불량 LED제품이 많이 적발됨에 따라, 국표원은 법 개정을 통해 처벌수위를 강화하고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불법·불량 LED제품을 집중 단속할 계획임
 
ㅇ 정상적으로 인증을 받은 후 고의로 부품을 변경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리콜명령 및 인증취소 처분에 그치지 않고 형사처벌까지 할 수 있도록 4월 임시국회에서 「제품안전기본법」을 개정 추진
 
ㅇ LED등기구를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하여 연중 1회 실시하던 안전성조사를 분기별로 확대 실시
 
* 전기용품 5품목(직류전원장치, 컴퓨터용 전원공급장치, 형광등용 안정기, 멀티콘센트, LED등기구)공산품 5품목(완구, 유‧아동복, 어린이용 장신구, 가구, 창문블라인드)
 
- 또한 금년 2분기중 경찰청과 합동으로 LED 불법·불량제품 제조공장을 단속하고 소비자단체, 지자체와 공동으로 전국단위 점검 연중 실시
 
□ 국표원은 이번 리콜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 공개하고,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 제품바코드를 등록하여 전국 대형 유통매장에서의 판매를 즉시 차단할 것임
 
ㅇ 또한 리콜처분된 기업들은 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수거하고, 소비자에게 이미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수리나 교환 등을 해주어야 함
 
* 리콜명령 받은 제품은 ①「제품안전정보센터」 접속⟶②왼쪽 위「제품리콜」 클릭⟶③「리콜정보검색」에서 확인
 
□ 국표원은 이번 리콜조치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은 해당제품의 제조․수입․판매사업자에게 수거 및 교환을 해줄 것을 적극 요구할 필요가 있으며, 수거되지 않은 제품 발견시 국표원(043-870-5427,5424) 또는 한국제품안전협회(02-890-8300)로 신고해 줄 것을 부탁함
 
ㅇ 아울러, 한국LED보급협회는 LED민원 헬프데스크(1544-9590)를 운영하여 소비자에게 리콜제품과 리콜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동주택에 설치된 불량LED 제품의 수거·교환*을 도와줄 예정임
 
* 공동주택의 유지보수 업체와 불량 LED제조업체와의 중재 역할 수행

[별첨] 제품 안전성조사결과 리콜명령대상 제품(51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015-04-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33 코스존 / COSZON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9.14
3032 비 올 때 위험해지는 지하 공간,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09.13
3031 LEMON YOGASHOP - 룰루레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2.09.08
3030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3029 명품 구매대행 사크라스트라다 8월만 피해 200건 넘어 소비자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9.07
3028 화재 등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한 한가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9.05
3027 온라인쇼핑몰 ‘스타일브이’ 배송 및 환급 지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9.02
3026 더키월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9.01
3025 “추석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8.31
3024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30
3023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3022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8.26
3021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08.26
3020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8.26
3019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26
3018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8.26
3017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8.26
3016 기준치 초과하는 성분(아세설핌K) 함유한 Ichibiki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8.26
3015 안트라퀴논 잔류 함량이 높은 Kharta 마테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08.26
3014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Nipp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8.26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