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형쇼핑몰은 다양한 상품·서비스의 제공 및 많은 사람의 출입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 가능성이 있어 시설관리자 및 이용자 모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주요 대형마트 사업자 3개사(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이용 중 발생하는 소비자 위해 예방 등 안전한 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대형마트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출범해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11월 28일 정례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하고 대형마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쇼핑카트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캠페인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2년 10개월간(2015년~2017년 10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대형·복합쇼핑몰 안전사고 652건 중 ‘쇼핑카트’ 관련 사고가 166건(25.5%)으로 다수를 차지한데 따른 것이다.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특히 연령이 확인된 사고건수(145건)의 대부분인 60.0%(87건)가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했는데, 쇼핑카트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절반 이상(50.6%, 44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 영유아의 90.8%(79건)가 ‘머리 및 얼굴’을 다쳤으며, 손상 증상은 ‘열상(찢어짐)’이 39.1%(34건)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과 ‘골절’을 일으킨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은 대형마트 3사와 함께 전국 매장 내 쇼핑카트의 안전벨트, 바퀴, 주의사항 표시 등을 점검하고, 인식 개선 포스터를 부착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활동을 벌인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쇼핑카트에 어린이를 태울 경우 ▲허용체중(15kg)을 준수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며, ▲짐칸에 어린이를 태우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면서, 앞으로도 ‘대형마트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11-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53 신년 맞이 산행,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1.03
3252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해외직구피해주의보 발령…11,12월에 피해 집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325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3250 인터넷교육서비스, 6개월 이상 장기계약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04.23
3249 Intenze 문신잉크(Lining Black),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8.05.17
3248 위드펫 / WithP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1.10.18
3247 Dewalt 전기 드릴, 사용 중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9.03.12
3246 IKEA 사탕, 쥐 접촉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8.04.12
3245 고층건물에 설치된 노인요양시설, 긴급피난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8.02.02
3244 10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7.10.10
3243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20.01.08
3242 Kids II 아기 요람, 질식사고 발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7.22
3241 에어컨 사전 구매 및 점검으로 설치·수리 지연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26
3240 Gold Medal 밀가루,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11
3239 Candyland 젤리, 견과류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11
3238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8.02.22
3237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Bonneterre Lait de coco cuisine 조리용 음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1.10.08
3236 역외보험 가입을 권유받을 때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5.25
3235 감염병 예방에도 월동 준비 필요! 질병별 예방수칙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11.05
3234 5월 가정의 달 나들이,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5.02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