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3은 벨트 채울 수 없고, 대장균·황색포도상구균도 검출돼 -

기저귀교환대에서 영유아들이 떨어져 다치는 상해사고가 해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나, 일부 시설은 관리 부실로 벨트 착용이 불가능하고 위생상태도 불량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수도권 다중이용시설(지하철역사, 고속도로휴게소, 버스터미널, 백화점, 대형마트) 여자화장실에 설치된 접이식 기저귀교환대 30개에 대한 실태조사 및 이용경험자 설문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기저귀교환대 10개 중 3개는 벨트 채울 수 없어 안전사고 위험 높아

안전벨트를 하지 않으면 기저귀교환대에서 아이가 떨어지기 쉽고 영유아 낙상사고의 경우 머리가 먼저 떨어져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조사대상 기저귀교환대 30개 중 10개(33.3%)는 벨트·버클 불량으로 벨트를 아예 채울 수 없었다.

최근 1년 이내에 기저귀교환대 이용경험이 있는 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347명, 69.4%)은 기저귀교환대에서 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위험하다고 답했고, 실제로 안전사고로 아이가 다친 경험이 있는 부모의 대부분(32명 중 24명, 75.0%)은 당시 아이에게 벨트를 채우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도 기저귀교환대 관련 위해사례가 최근 3년 11개월(2014.1.~2017.11.)간 총 26건 접수됐으며, 피해자 대부분(25건 중 20건, 80.0%)은 12개월 이하인 ‘만 0세’였고, 주로 뇌진탕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머리 및 뇌’(25건 중 19건, 76.0%)를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기저귀교환대 위생상태 불량하나 위생기준은 없어

30개 기저귀교환대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환대 4개에서 대장균이, 교환대 7개에서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일반세균은 최대 38,640CFU/100㎠가 검출됐다.

매트에서 검출된 일반세균의 평균값(4,052CFU/100㎠)은 ‘화장실손잡이’(2,400CFU/ 100㎠)의 약 1.7배 수준이었다. 특히, 4개 매트에서 검출된 일반세균수는 ‘물수건’ (동일 단위면적 비교 시)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고, ‘쇼핑카트 손잡이’(11,000CFU/ 100㎠)의 약 1.6배~3.5배에 달했다.

* 물수건(24cm×25cm, 15g) 규격기준(「위생처리업의 위생관리기준(보건복지부고시 제2014-201호)」

 - 일반세균 105이하

 - 대장균 음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세균수>

 - ‘황색포도상구균’은 대표적인 화농균이며 감염 시 피부질환, 구토, 설사, 복통 및 오심(구역)을 일으킬 수 있으며, 눈에 감염 시 세균성 각막염을 유발할 수도 있음.

 - 대장균군, 대장균, 일반세균은 식품 오염의 척도가 되는 위생지표 세균임.

 - ‘대장균’은 사람·포유동물의 장내에 기생하는 세균으로, 음식물에서 확인이 되면 비위생적으로 제조·관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병원성 세균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 ‘일반세균’은 식품의 부패·변질을 유발하며 오염 정도가 심하면 배탈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음.

출처 : ‘대장균은 나쁜균! 좋은균?’(식품의약품안전처, 2012.) 등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기저귀교환대 이용경험자 500명 중 대부분(432명, 86.4%)은 교환대의 위생상태가 불량했다고 답했고, 교환대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더럽거나 더러울 거 같아서’(415명 중 363명, 87.5%) 이용을 꺼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생·청결관리 강화’(197명, 39.4%)를 첫번째 개선과제로 꼽을 정도로 위생상태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한편, ‘아이를 눕혔는데 벨트에 문제가 있거나 벨트가 더러워 채우기 꺼려질 때’ (304명 중 129명, 42.4%), ‘기저귀교환대가 더러워 아이를 세운 채 기저귀를 교환할 때’(304명 중 125명, 41.1%) 안전사고 위험을 느꼈다고 답변해 기저귀교환대의 위생상태는 안전사고와도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저귀교환대 주 이용대상이 면역력이 약하고 무엇이든 물고 빠는 습성을 지닌 만 36개월 미만 영유아임을 고려할 때, 기저귀교환대에 대한 위생기준 마련 및 청소·소독 등 주기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귀교환대 의무설치시설 범위 확대 필요

기저귀교환대 이용경험자 497명* 중 391명(78.7%)은 ‘영유아와 외출 시 기저귀교환대가 설치되지 않아서 실제로 불편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변했으며, 미설치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 장소로 ‘일반건물(도서관, 은행 등)’(252명, 64.5%), ‘야외시설’ (155명, 39.6%), ‘쇼핑센터(백화점, 대형마트 등)’(55명, 14.1%) 등을 지적했다.

* 기저귀교환대가 어디든 잘 설치되어 있다고 답변한 3명 제외한 497명 대상

현재 교통시설에만 기저귀교환대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올해 하반기부터 공연장, 종합병원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나, 향후 신축·증축하는 신규 시설만 적용되고 백화점, 대형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은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어 의무 설치 범위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 위생시트, 세정용품 등 편의용품 비치도 부족

기저귀교환대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일회용 위생시트가 비치된 곳은 조사대상 30개 중 한군데도 없었고, 기저귀교환대를 닦을 수 있는 물티슈와 같은 세정 용품 또한 대부분(28개, 93.3%) 비치되지 않았으며, 3개 장소(10.0%)에는 기저귀를 버릴 수 있는 휴지통조차 없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기저귀교환대 안전관리·감독 강화 ▲위생기준 마련 및 위생관리 강화 ▲기저귀교환대 의무설치시설 범위 확대 ▲편의용품 비치 및 지속적인 유지·점검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73 인터넷 불법 대출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18.11.21
3272 다이어트 패치, 효과 검증 안되고 피부 부작용 발생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18.11.23
3271 겨울철 근로자 건강, 한랭질환 예방으로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11.26
3270 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1.26
3269 전기난로 적정온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11.26
3268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3267 일상생활 중 끓는 물이나 음식에 의한 화상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18.12.03
3266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18.12.03
3265 ㈜피코그램 퓨리얼 직수형 정수기 출수구 코크 부품 교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4 2018.12.04
3264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12.04
3263 유아용 목욕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12.04
3262 Kangaroo 슬라임 완구, 붕산 고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12.04
3261 Medline 화장품, 박테리아 오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04
3260 Nutrisport 단백질 보충제, 알러지원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12.04
3259 겨울철 주류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18.12.05
3258 올 겨울 기습 한파 예상, 한랭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18.12.05
3257 핫팩 사용 시 저온 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8.12.05
3256 Carotone 피부미백크림(Light & Natural brightening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8.12.05
3255 Eternal ink 문신잉크(Bright Orange), 중금속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12.05
3254 필리핀·우크라이나 지역 홍역 유행 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