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깊어진 가을, 10월에는 어떤 사고에 주의해야 할까요?
- 지역축제, 등산사고, 교통사고, 농기계사고, 태풍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0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10월에 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가 월평균보다 높은 유형
** 10월(‘13~’17) 국내 발생 재난안전 관련 트윗(1억2,424만건) 분석(국립재난안전연구원)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역축제)10월은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지역축제*가 가장 많이 개최되는 시기로, 축제 중 공연장 등으로 다수의 관람객이 한꺼번에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주최하거나 후원하는 행사로 2일 이상 개최하는 축제
** ‘14.10.17. 경기도 분당 공연장 환풍구 추락사고(사망 16명, 부상 11명) ‘05.10.03. 경북 상주 시민운동장 안전사고(사망 11명, 부상 162명)

행동요령은축제장에서 기본질서와 안전수칙을 잘 지키고, 공연이나 체험 등 행사에 참여할 때는 안전요원의 지시에 따르고 위험한 행동은 자제한다.

(등산)10월은 가을 단풍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로 산을 찾는 등산객 또한 가장 많다. 특히, 가을철에는 곱게 물든 단풍을 보고자 평소 등산을 즐기지 않던 이들이 무리하게 산행을 하면서 실족이나 추락 등 등산사고도 많이 발생한다.

행동요령은 산행 전에는 가벼운 몸 풀기로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켜 부상을 예방하고,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여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교통사고)10월은 연중 교통사고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로 축제와 행사, 단풍놀이 등으로 단체 이동 차량이 늘면서, 특히 대형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행동요령은 단체 이동을 위해 대형 버스에 탈 때는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특히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차량 내 음주가무 등 소란행위는 자제한다.

(농기계)10월은 본격적인 가을걷이 시기로 농기계 사용이 많아지면서 운전 부주의 등으로 인한 추락과 전도, 교통사고 등에 주의해야 한다.

행동요령은 농기계로 짐을 나를 때는 과적과 과속에 주의하고, 농기계로 도로를 다닐 때는 반드시 교통법규를 지킨다.

(태풍)10월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발생이 가장 낮은 시기이지만,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최근 10년간(‘07~‘16)간 10월에 2회의 태풍으로 6명이 사망하고, 총 2,161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16년에는 태풍 ’차바‘로 인해 경남과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큰 피해가 있었다.

행동요령은 태풍 예보 시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간판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하고 침수 위험지역 머물게 된다면 해당지역을 신속히 벗어나고 접근하지 않아야 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10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를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대비해 주실 것을 요청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0-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13 임신 중 비타민 D 적정 유지가 출생 후 자녀의 아토피피부염 예방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3.08
3312 임신 20주 이후, 이부프로펜 등 복용은 피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30
3311 임산부의류 인터넷 쇼핑몰‘꼰지잼잼’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9 2017.09.06
3310 임산부가 복용시 유산 위험 있는 Super Urinary Gout Support 의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5.13
3309 일회용 면봉 일부 제품,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11.07
3308 일회용 기저귀, 올바르게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1.08.13
3307 일차방향족 아민 용출된 Quttin 국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8
3306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24
3305 일상생활 중 끓는 물이나 음식에 의한 화상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18.12.03
3304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0.11.23
3303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0.11.23
3302 일부 휴대용 레이저용품에서 시력 손상 위험있는 레이저 방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7.22
3301 일부 해외직구 분사형 세정제 및 살균제에서 CMIT·MIT 등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7.29
3300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8.25
3299 일부 프로야구장 응원용 막대풍선, 어린이에게 유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0.18
3298 일부 프라모델용 접착제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19.01.24
3297 일부 패션팔찌에서 납과 카드뮴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7.12.14
3296 일부 차량용 핸들커버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06
3295 일부 차량용 에어매트리스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2.23
3294 일부 조화 제품에서 환경에 유해한 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2.04.05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