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4월 12일 현재 국내 전역에서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와 연안 주요 패류양식장 및 주변해역에서 채취한 패류의 마비성패류독소 발생현황을 알려드립니다(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수산과학원 제공)

※ 패류채취 금지해역 : 부산 다대포 및 감천항 연안

□ 국내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독소 검사현황(식품의약품안전처)
○ 전국 17개 시·도에서 판매되고 있는 바지락, 진주담치(홍합), 굴, 키조개 등 282건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패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연안 주요 양식장 및 주변해역 패류독소 발생현황(국립수산과학원)
○ 진해만 및 통영일원 등 32개 조사지점, 거제시, 여수시, 남해군,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포항시, 인천광역시, 태안군, 보령시, 서천군, 완도군 연안의 진주담치, 굴, 바지락, 키조개 조사결과
- 부산광역시 감천항에서 기준치 초과 검출(2,282㎍/100g)
- 부산광역시 다대포 연안의 진주담치에서 기준치 이하 검출(40㎍/100g)
- 그 외 조사해역의 진주담치, 굴, 바지락, 키조개 : 불검출

□ 패류독소 검출된 해역이 발생됨에 따라, 패류 채취금지해역에서는 임의로 채취하여 섭취하거나 시중에 출하·유통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됩니다.

□ 안내사항
○ 패류독소 발생현황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www.mfds.go.kr) 및 모바일(m.mfds.go.kr)과 수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fs.go.kr) 패류독소 속보와 스마트폰 앱으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 패류독소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축수산물안전과(043-719-3253~3255)와 국립수산과학원(051-720-2641~2번)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4-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3 화상위험 있는 게임패드 충전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6.02
432 감전위험 있는 패널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7.06.02
431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153 2017.06.02
430 누유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호스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2 2017.06.02
429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06.02
428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17.06.02
427 부품 탈락에 따른 질식사고 위험있는 Fiesta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17.06.02
426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잡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98 2017.06.02
425 벤츠, 포르쉐, BMW, 두카티 리콜실시 (총 15개 차종 2,014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6.01
424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17.06.01
423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 여드름 부위에만 사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2 2017.06.01
422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0 2017.06.01
421 KS기준(강모다발 유지력)을 충족하지 못한 마이비 유아 칫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4 2017.06.01
420 사고 잦던 졸음쉼터 진·출입로 길이 늘려 안전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7.05.31
419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9 2017.05.29
418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6 2017.05.29
417 연안 안전사고 주의, 6~8월 가장 많이 발생(3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7.05.26
416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0 2017.05.25
415 이른 더위에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17.05.23
414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7.05.22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