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수 제품 개봉 상태로 비치, 미생물 오염 확인돼 -

소비자들이 다양한 색조화장품 중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미리 사용해보고 구입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화장품 매장에서 ‘테스터 화장품*’을 제공하고 있으나, 일부 테스터 화장품은 위해미생물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테스터(tester) 화장품’이란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입하기 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매장에 비치한 견본품을 의미함.

※ 현재 법적으로 규정된 정의는 없으며 ‘테스터 제품’, ‘테스트용 제품’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음. 주로 판매하는 제품과 동일한 제품이며 ‘테스터(tester)’, ‘try me’ 등 테스터 화장품임을 알 수 있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음.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공동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위치한 16개 매장의 42개 테스터 화장품*을 대상으로 한 비치·표시실태 및 미생물** 위생도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아이섀도 16개, 마스카라 10개, 립스틱·립틴트 등(이하 립제품) 16개 제품

** 미생물 4종 : 총 호기성 생균수,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총 호기성 생균수 : 살아있는 세균과 진균 수를 측정한 것임. 세균 및 진균에 오염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처가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염증까지 발생할 수 있음.

황색포도상구균 :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세균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고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피부질환, 구토, 설사, 복통 및 오심 등)을 유발할 수 있음.

대장균 : 사람을 포함해서 포유류의 장관을 기생장소로 하고 있는 장내 세균으로 설사, 발열, 구토 및 복통 등을 유발 할 수 있음.

녹농균 : 패혈증, 전신감염, 췌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난치성 감염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임.

다수 제품 뚜껑 없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 개봉일자 기재 필요

테스터 화장품은 뚜껑 없이 개봉된 상태로 장시간 노출될 경우 공기 중의 먼지·습기, 사용자간의 교차오염 등으로 위해미생물이 쉽게 오염·증식될 수 있으나 매장 내 다수 테스터 화장품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되어 있었고, 개봉일자도 기재되어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16개 중 13개 매장(81.3%)에서는 아이섀도 제품을, 9개 매장(56.3%)에서는 고체형 제품(립스틱)을 뚜껑이나 덮개 없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하고 있었고, 제품을 위생적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일회용 도구(브러시 등)를 제공하는 곳은 1개(6.3%) 매장에 불과했다.

또한,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6개(14.3%)*만 개봉일자가 기재되어 있었고, 13개(31.0%)**제품은 유통기한·제조일자도 확인할 수 없었다.

* 마스카라 3개, 립제품 3개

** 아이섀도 12개, 마스카라 1개

3개 중 1개 제품은 위생 불량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14개 제품(33.3%)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돼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개봉된 화장품에 대한 미생물 기준이 없어 유통화장품 미생물 기준을 준용

아이섀도 16개 중 2개 제품(12.5%)에서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510~최대 2,300 cfu/g 수준으로 기준(500 이하) 초과 검출되었고, 1개 제품(6.3%)에서는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마스카라 10개 중 5개 제품(50.0%)에서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550~최대 2,200 cfu/g 수준으로 기준(500 이하) 초과 검출되었다.

립제품 16개 중 4개 제품(25.0%)에서는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1,530~최대 2,140,000cfu/g 수준으로 기준(1,000 이하) 초과 검출되었고, 3개 제품(18.8%)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 1개 제품은 총 호기성 생균·황색포도상구균 중복 검출

아이섀도·마스카라·립제품 등의 용기는 대부분 뚜껑을 열어 사용하는 단지 형태(Open jar)로 튜브(Tube) 또는 펌프(Pump)식 제품보다 사용자들로 인한 교차오염 위험이 높으며, 오염된 제품을 눈·입술 등과 같이 민감한 부위에 사용할 경우, 피부질환·염증 등 위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 위생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 유형별 위해미생물 기준 초과 검출 제품 수 ]

(단위 : cfu/g(mL))
구분총 호기성 생균 수황색포도상구균대장균녹농균
아이섀도2개 (510~2,300)1개 (검출)불검출불검출
마스카라5개 (550~2,200)불검출
립제품4개 (1,530~2,140,000)3개* (검출)
* 1개 제품 중복 검출(총 호기성 생균·황색포도상구균) ※ 기준 : 총 호기성 생균 수(눈 화장용 500 이하/ 기타화장품 1,000 이하), 황색포도상구균·대장균·녹농균(불검출)
테스터 화장품 위생 및 안전 관리 강화와 안전한 사용법 준수 필요

한국소비자원 및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테스터 화장품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피해 사전예방을 위해 ▲화장품협회에는 가이드라인 마련을, 관련 업체에는 매장 내 테스터 화장품 위생관리 강화를 권고하였다. 관련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위생관리(테스터 화장품 비치관리 및 소비자 사용법 안내·홍보 등)를 철저히 하기로 하였다. 한편, 식약처는 블로그·SNS 등을 통해 ▲소비자의 테스터 화장품 안전한 사용법을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테스터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사용자들 간의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 도구(브러시 등)를 이용할 것 ▲눈·입술 부위에 직접적인 사용은 자제하고 손목·손등 부위에 테스트할 것 ▲제품에 기재된 개봉일자나 유통기한을 확인할 것 ▲테스트 후 최대한 빨리 제거할 것 등을 당부하였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73 홍합 등 봄철 수산물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8.03.15
772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8.03.15
771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3.15
770 미인증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3.09
769 새 학기 시작,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3.08
768 학생들의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3.02
767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8.02.28
766 국내유통 음료류 벤젠으로 인한 위해 우려 없어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2.28
765 교통사고, 보행자 사고 예방이 우선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27
764 3월, 이런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2.27
763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2.27
762 『일자목증후군』평상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 운동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02.26
761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2.23
760 해빙기 안전 - 주변 시설물 더욱 꼼꼼하게 점검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8.02.22
759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8.02.22
758 ‘무늬만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22
757 즐거운 설 연휴, 이런 질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2.13
756 설 연휴, 아프거나 다쳐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2.13
755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2.13
754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9 2018.02.13
Board Pagination Prev 1 ...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