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체계 운영
◇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인플루엔자 유행 상황에 따른 개인위생 수칙 준수 당부
◇ 해외여행 후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입국 후 발열 등 증상발생 시 ☎1339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평창동계올림픽(’18.2.9~2.25) 및 설 연휴(’18.2.15~2.18)를 대비해 전국 보건기관과 24시간 비상방역 근무체계를 운영하며, 긴급상황실(EOC)을 통한 상황파악 및 신속 대응을 실시한다.

 ○ 이에 따라 설 연휴 기간 각종 감염병 발생 및 해외 감염병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한 감염병 발생감시와 대응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설 연휴에 발생이 우려되는 감염병에 대비하여 ‘설 연휴 감염병 예방수칙(붙임1)’을 발표하였으며, 우리 국민은 반드시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인천공항을 비롯한 전국 공항·만 국립검역소에서는 연휴 기간 해외여행객 증가를 대비하여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 메르스 등 해외감염병 예방·주의를 당부하는 홍보 캠페인을 실시(’18.2.13~2.14)한다.

□ 설 연휴 기간에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인플루엔자, 해외여행에 따른 세균성이질, AI 인체감염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 황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 등의 감염병이 우려되고 있다.
    *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노로바이러스감염증 등

 ○ 명절에 친지간 음식 공동섭취 및 식품 관리 소홀 등으로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집단발생이 가능하고 특히,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장관감염증(腸管感染症)*으로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을 주의해야 한다.
    * 세균·바이러스·원충에 감염되어 주로 소화기계 증상(설사,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나는 질환
    ** 매년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연간 발생의 약 80∼90%가 발생

   - 장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손씻기,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과정 준수 등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예방수칙’을 지키고,

   - 음식물 섭취 후 24∼48시간 후 구토, 설사 등이 발생한 경우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오염된 물품, 화장실 등에 염소소독(붙임2)을 한 후 사용하도록 한다.

 ○ 인플루엔자는 의사환자 분율*이 ’18년 1주 이후 5주 연속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 유행상황이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 / 총 진료환자수 × 1,000
      ☞ 최근 인플루엔자의사환자 분율: 2018년 1주(’17.12.31∼’18.1.6) 72.1명, 2주(1.7.∼13) 69.0명, 3주(1.14∼20) 59.6명, 4주(1.21∼27) 43.6명, 5주(1.28∼2.3) 35.3명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의 기본 원칙인 30초 이상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초기에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유입 감염병*은 매년 40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어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해외질병)를 통해 여행 목적지의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17년도에는 뎅기열(39%), 말라리아(17%), 세균성이질(10%), 장티푸스(4%), A형간염(4%) 등 대부분 모기매개 감염병 및 수인성 감염병이 신고되었으며, 주요 유입 지역은 아시아 지역(76%)과 아프리카 지역(17%)임

   - 특히, 중국에서는 올겨울에도 AI 인체감염증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어 중국 여행 시 조류농장과 생가금류 시장 방문을 자제하고 조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등 ‘AI 인체감염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아울러, 최근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에서 세균성이질 유입 환자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해당 지역 방문 시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길거리 음식 먹지 않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과일‧채소는 먹기 전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 또한, 동남아 지역에서 뎅기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임신부는 해당 국가로의 여행 연기를 권고하며, 일반 여행객은 여행 중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행동 수칙’을 지켜야 한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및 예방수칙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특히,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 여행자는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고, 금욕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도록 한다.


 ○ 감염병 오염지역(붙임6)을 방문한 경우 입국할 때 건강상태 질문서를 성실하게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귀가 후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발현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 미제출 시 「검역법」 제41조 규정에 따른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보건복지부 2018-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813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9
812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811 「고위험 ETF 은행신탁상품」 투자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3.29
810 한 번의 클릭, 피해는 평생 갈 수 있습니다. -’17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2 2018.03.29
809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8.03.27
808 전국 미세먼지 나쁨 예보, 노약자·임산부·기저질환자는 더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18.03.23
807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2
806 Vornadobaby 전기히터(Sunny CS Nursery Space Heater), 모터마운트 파손돼 화재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3.21
805 California Basics 건강기능식품(Zero For Him),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03.21
804 Dynamic 문신잉크(Black)에 발암성분이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18.03.21
803 Disney 색연필에 납 성분이 과다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3.21
802 VTech 딸랑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3.21
801 PlayMaty 자석완구 흡입 시 질식·장 천공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3.21
800 Goya 소스(양념) 2종,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8.03.21
799 Ultra Glow 미백화장품(Fade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3.21
798 MARBERT 기초화장품(24h Aqua Booster 03 Mediu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1
797 Perlier 바디크림(Body Honey Miel - Fluid Cream Moisturizing),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3.21
796 RICH 헤어 관리 제품 3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1
795 RICH 헤어 관리 제품 2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3.21
794 Caro White 미백화장품(Lightening Beauty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