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가을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등산, 낚시 등 국민의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산행 시 발생하기 쉬운 등산사고와 낚시할 때 지켜야 할 안전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10월은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시작된 단풍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단풍 구경 등으로 산행객이 늘어나면서 등산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2년(2020~2021)간 전국 각지에서 10월에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은 월평균 471만명보다 1.7배 많은 781만명*으로 연중 가장 많았다.
     *국립공원 탐방객 산출 시 제외 :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 또한, 최근 2년간 발생한 등산 사고는 총 14,950건으로 인명피해는 8,698명(사망 192, 부상8,506) 발생하였으며, 이 중 10월에는 2,149건의 등산사고로 1,257명(사망 21, 부상1,236)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785건(37%)으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사고 612건(28%),  신체질환으로 인한 사고 453건(21%), 추락 77건, 고립 12건 순이다.

 ○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에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여야 한다. 등산로는 지정된 길을 이용하고 입산이 통제된 위험·금지구역은 절대 출입하지 않는다.

   - 한로(10.8.)와 상강(10.24.)을 지나며 풀숲에 이슬이 맺히고, 서리까지 내리면 등산로가 생각보다 미끄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한로)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상강)서리가 내리는 시기

   -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부는 경우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 보온용품을 챙겨 추위에도 대비하도록 한다.

  ○ 또한, 늦가을로 갈수록 낮의 길이가 점점 줄어들고 일찍 어두워져 조난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좋다.
      ※ 10월 지역별 일몰 시간(한국천문연구원)
       ㆍ(서울) 1일 18:16, 10일 18:03 20일 17:49, 30일 17:37
       ㆍ(강릉) 1일 18:09, 10일 17:55, 20일 17:41, 30일 17:29
       ㆍ(제주) 1일 18:19, 10일 18:07, 20일 17:55, 30일 17:44

  ○ 아울러 산에서 멧돼지나 들개 등과 마주쳤을 때는 최대한 움직임과 소리를 줄여 그 자리를 벗어나고 등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야생동물 처리 등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앱, 웹)로 신고

□ 한편, 계절이 바뀌며 어종이 풍부해지는 가을 낚시철을 맞아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낚시를 위해 해안가를 드나들 때, 위험·금지구역은 출입하지 않으며 기상상황에 유의한다.

    - 날씨가 안 좋을 때, 갯바위와 방파제, 네발 방파석(테트라포드)에서의 낚시는 가급적 자제하고, 특히 갯바위는 해수와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한다.

  ○ 또한, 바다에서는 수시로 풍랑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밀물과 썰물 시간을 미리 파악하여 밀물에 고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낚시 중이라도 풍랑 특보가 내려지면, 즉시 방파제·갯바위 등 위험지역에서 벗어나고, 먼바다에서 잔잔히 몰려와 해안가에서 갑자기 솟구치는 너울성 파도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밤 낚시를 할 때는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등이나 발광제품을 몸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야외활동하기 좋은 쾌청한 날씨에 등산·낚시 등으로 집을 나설 때는 반드시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혼자보다는 가급적 일행과 함께하며 관련된 예방요령도 잘 지켜 안전하게 가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3-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893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892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아용 코끼리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891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890 포장 오류로 다른 제품 들어 알러지 위험 있는 하쿠바쿠 잡곡(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889 플라스틱 이물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Milupa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888 자석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HiPP 과일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887 온라인쇼핑몰 ‘오시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06
886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하우스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4
885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884 블루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12
883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882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Alnatura 그라운드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8
881 청년 정책금융상품 가입신청을 위장한 피싱사이트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4.19
» 가을, 등산과 낚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10.18
879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878 배터리 문제로 화재 위험 있는 Zooby 차량용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877 임플란트, 레진 등 일상화된 치과치료 관련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31
876 여름철 영유아의 눈곱을 동반한 감기 증상,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22
875 유해물질 과다 함유된 반려동물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16
874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04
Board Pagination Prev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