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옷차림이 간소화되는 여름철에는 신체 노출이 증가해 화상 우려가 더욱 높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여름철에 가장 많은 화상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어린이는 호기심이 많은 반면 반응속도가 느려 빠른 대처가 어렵고 피부가 연약해 화상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 ’16년 계절별 화상환자수(비율) : 봄 172,486명(23.2%), 여름 235,504명(31.6%), 가을 181,089명(24.3%), 겨울 155,309명(20.9%)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간(’15년~’17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화상사고’는 총 2,636건**으로, 전연령 화상사고 건수(6,640건)의 3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837건 → ’16년 976건 → ’17년 823건

◎ ‘1세~3세’ 걸음마 시기에 빈발하고, 가정 내 ‘주방’에서 주로 발생
어린이 화상사고의 대부분(88.2%/2,325건)이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했다. 세부 발달단계별로는 호기심과 활동범위가 증대되는 ‘1~3세 걸음마기’에 57.5% (1,515건)가 집중됐고, 이어 ‘0세 영아기’ 19.6%(51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아’가 57.3%(1,510건)로 ‘여아’ 42.7%(1,126건)보다 14.6%포인트 높았다.

화상사고가 발생한 장소는 영유아가 가장 많은 시간을 머무르는 ‘가정’이 전체의 79.2%(2,0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가정 내 화상사고의 절반 이상(57.8%/1,206건)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한 가열 조리가 이루어지는 ‘주방’에서 발생했고, 이어 ‘침실·방’ 16.4%(342건), 거실 10.5%(22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전기밥솥, 정수기, 커피포트 등 전열제품 사용 주의해야


어린이 화상원인은 뜨거운 제품과 접촉하거나(49.1%/1,295건), 뜨거운 물이나 증기(46.7%/1,232건)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밖에 콘센트에 젓가락 등을 집어넣어 발생하는 전기 화상(3.3%/86건)과 빙초산·순간접착제 등으로 인한 화학 화상(0.8%/20건)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품목별로는 ‘전기밥솥’이 18.4%(48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정수기’ 10.6%(279건), ‘커피포트’ 9.2%(242건), ‘고데기’ 6.9%(183건), ‘다리미’ 6.0%(157건)로 이상 5개 일상생활제품이 전체의 절반 이상(51.1%)을 차지했다.

◎ 화상 위험이 있는 제품은 반드시 어린이 손에 닿지 않게 보관해야


성장단계에 있는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화상사고는 신체적 고통 뿐만 아니라 흉터 생성으로 인한 관절 부위 운동제한이나 외모 스트레스에 따른 건전한 정신적 성장 저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가정이나 어린이 관련 시설 등 일상에서 어린이가 화상 위험요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환경개선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화상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으로 ▲전기밥솥 등 전열제품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둘 것 ▲어린이를 씻길 때 수도꼭지나 샤워기는 갑자기 뜨거운 물이 나올 수 있으므로 물을 받아서 할 것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안전덮개로 막아둘 것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화상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법으로 ▲화상 부위를 흐르는 물에 15~20분 정도 식힐 것 ▲부종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지 등 장신구는 제거할 것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물집은 터뜨리지 말 것 ▲깨끗한 천이나 붕대로 화상 부위를 감싼 후 병원에 방문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등 주요 안전취약계층 대상의 위해사례 분석을 통한 맞춤형 안전정보 제공을 강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33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8.09.20
1032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9.20
1031 추석 연휴기간, 안전벨트 착용 약속합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9.19
1030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하여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18.09.18
1029 가을철 야외활동 때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18.09.17
1028 호남지역, 택배 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18.09.17
1027 추석 인사, 택배 등을 사칭한 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18.09.17
1026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9.13
1025 일본뇌염 국내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9.13
1024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9.11
1023 가을철 야외 활동, 독버섯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18.09.10
1022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09.10
1021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 매일 116명, 10억원의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9.10
1020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8.09.07
1019 Shan Shi 간장, 이물 혼입되어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18.09.07
1018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9.07
1017 Wish Bone 샐러드드레싱,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9.07
1016 Sparkling Ice 음료수, 변질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9.07
1015 Badefee 입욕제,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18.09.07
1014 Zoggs 수경세척제, 안구 통증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8.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