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2.~7.28.)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하천이나 강, 계곡, 바닷가 등에서의 물놀이 사고 위험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여름철(6~8월)에 발생한 물놀이 사고로 총 169명이 사망하였다.

발생 시기로는 전체 사고의 절반(80명, 47%) 정도가 7월 하순부터 8월 초순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사고 장소로는 하천이나 강에서 95명(56%)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가의 갯벌이나 해변, 계곡이 각각 25명(15%), 해수욕장 22명(13%) 순으로 발생하였다.

행정안전부는 물놀이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7월 15일에서 8월 15일까지를 ‘물놀이 집중관리기간’으로 정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상황체계*를 강화하였다.
* ①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소방서, 경찰서,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② (행정안전부)평일과 휴일 상황관리반 운영, (지방자치단체) 비상근무반 운영

특히, 올해는 다슬기를 잡다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사고 발생지역에 안전표지판과 현수막을 설치하고‘다슬기 채취 시 안전 행동요령’을 배포하는 등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물놀이 안전명소*‘ 24개소를 지정하여 안내하고 있다.
*물놀이 안전명소: 주변 경관, 안전성 사고발생 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려면 금지구역에는 출입하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놀이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입어야 하며, 물에 들어갈 때는 심장에서 먼 다리와 팔, 얼굴, 가슴 순서로 들어 가야한다.

특히,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물놀이를 자제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한 무리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다슬기를 잡을 때도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하천의 바닥이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미끄럼 방지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또한, 다슬기 채취망에는 물에 잘 뜨는 고무공이나 스티로폼 등을 달아 사고를 예방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소리쳐 알리고(119 신고), 직접 뛰어들기 보다는 주변의 튜브나 스티로폼 등을 활용하여 구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해마다 물놀이 사고로 34명 정도의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민들께서는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며, “물놀이를 하거나 다슬기를 잡기 전에는 평소 아는 곳이라도 주변에 위험 요인은 없는지 살펴보고 무엇보다 안전수칙을 잘 지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33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8.09.20
1032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9.20
1031 추석 연휴기간, 안전벨트 착용 약속합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9.19
1030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하여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18.09.18
1029 가을철 야외활동 때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18.09.17
1028 호남지역, 택배 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18.09.17
1027 추석 인사, 택배 등을 사칭한 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18.09.17
1026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9.13
1025 일본뇌염 국내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9.13
1024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9.11
1023 가을철 야외 활동, 독버섯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18.09.10
1022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09.10
1021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 매일 116명, 10억원의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9.10
1020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8.09.07
1019 Shan Shi 간장, 이물 혼입되어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18.09.07
1018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9.07
1017 Wish Bone 샐러드드레싱,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9.07
1016 Sparkling Ice 음료수, 변질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9.07
1015 Badefee 입욕제,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18.09.07
1014 Zoggs 수경세척제, 안구 통증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8.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