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익수(물에 빠짐)사고는 여름(47.3%)에 주로 발생, 특히 7(6월 대비 2.5)에 급증

      - 발생 9세 이하의 소아(29.4%)에서 많고,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

     - 더운 시간대(12-18, 53.9%)집중적으로 발생

질병관리본부, 물놀이 사고예방 및 감염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 물놀이 안전수칙, 응급처치,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5-2018년 동안 23개「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참여병원 응급실에 익수(물에 빠짐)사고**로 내원한 환자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발생 원인을 비롯한 손상 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 자해·자살 등 의도성 익수를 제외한 비의도성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최근 4년 동안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체 익수사고 환자는 673명으로 남자가 474명(70.4%), 여자가 199명(29.6%)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4배 정도 많았다.

   - (연령별) 사고는  9세 이하의 소아(198명, 29.4%)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시기별) 여름(6-8월, 47.3%)에 사고가 많고, 특히 7월에 2.5배로 급증하였다. 주중보다는 주말에 발생 빈도가 높고, 오후(12-18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활동별) 여가활동(47.8%)과 일상생활(27.6%) 중에 주로 발생하였다.

   - (장소별) 바다와 강을 포함하는 야외(56.2%)에서 대부분 발생하였고, 그 외 목욕시설*(10.4%), 수영장 시설**(10.3%), 집***(7.4%)에서도 다수 발생하였다.

   * 목욕시설 : 사우나 시설 내 목욕탕, 온천, 스파 등
   ** 수영장 시설 : 공공수영장, 상업시설 내 수영장 등
   *** 집 : 욕조 등

   - (응급실 진료 후 결과) 응급실 내원 후 귀가(29.4%)보다는 입원(53.8%)하는 경우가 1.8배 많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물놀이 사고가 잦은 여름철을 맞아 어린이 대상 물놀이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간다.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한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을 적신다.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을 씹지 않는다.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는 곳,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는다.

계곡이나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장치가 있는 샌들을 신는다.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는다.

  

<어린이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어른용 안전수칙>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자녀와 함께 물에 들어가세요.

* 자칫 심각한 위험에 빠지거나 물놀이 중 마주칠 수 있는 위험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

물 근처에 자녀를 혼자 두거나 형제끼리 남겨두고 자리를 비우지 마세요.

물놀이 할 때는 아이 몸무게에 맞는 안전인증 받은 구명조끼를 입혀주세요.

물속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세요.

식사 전,후에는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지도하세요.

너무 오랫동안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물놀이 30분 후에는 반드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만약 물에 빠진 어린이를 구조했을 때, 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젖은 옷을 벗기고 아이의 몸에 담요 등을 덮어 체온을 유지하고, 옆으로 눕힌 후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며,

   - ② 만약 의식이 없는 경우는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고 구급차를 기다리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므로 물가나 야외에 나갔을 때 아이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 평소 물놀이를 하기 전에 충분히 안전수칙을 숙지하도록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수칙 및 해수욕장에서 생활 속 거리 두기와 관련된 소식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의 카드뉴스 및 홍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20-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73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Depilatory Roll on Wax Heater전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0.10.05
1772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Liitokala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0.10.05
1771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레르기 위험 있는 UpSpring 영유아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0.10.05
1770 어린이 안전용기 미사용으로 중독사고 위험 있는 BioFinest 에센셜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0.10.05
1769 뚜껑 분리되거나 폭발 위험 있는 FLSK 텀블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0.10.05
176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Holland & Barrett 견과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0.05
1767 중고차 리스시 리스료 대납 사기를 주의하세요!-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9.29
1766 4차 추경 지원금 문자안내 관련 결제사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0.09.25
1765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9.25
1764 어르신에게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 등 71개 추가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9.24
1763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9.24
1762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0.09.24
1761 명절 대비 건강제품, 온라인 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9.24
1760 추석 연휴, 주택화재 발생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09.23
1759 안마의자, 영유아 끼임 사고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09.23
1758 베란다나 창문의 어린이 추락사고 주의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09.22
1757 추석 명절기간 스미싱,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0.09.21
1756 가을철 증가하는 발열성 감염병 주의 당부!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하게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9.18
1755 유아용 구강청결 물휴지, 해외직구 때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0.09.17
1754 식품용 살균제, 인체에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0.09.16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