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어린이 칫솔 개별안전기준 마련 필요 -

어린이 칫솔의 품질불량으로 칫솔모 삼킴, 상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일부 제품은 관련 KS(한국산업표준)*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임의인증제도로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ㆍ안전성을 가진 제품임을 확인, 홍보할 수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어린이 칫솔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칫솔모와 칫솔 손잡이 강도 등에 대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며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칫솔모 탈락으로 인한 어린이 삼킴ㆍ상해사고 발생 빈번

최근 4년 6개월간(2013.1.~2017.6.)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칫솔’ 관련 위해사례는 총 342건으로, 이 중 어린이 안전사고는 212건(62.0%)이다. 연령별로는 ‘만 3세 이하’가 163건(76.9%)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연령이 올라갈수록 사고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연령별 위해사례 건수 ]

구분만 3세 이하만 4세~만 9세 이하만 10세~만 13세 이하미상*합계
건수(건)1633757212
비율(%)76.917.42.43.3100.0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칫솔 관련 어린이 안전사고로 신고되었으나 연령 등이 미기재된 사례

 

특히, ‘칫솔모 탈락’으로 발생한 위해사례 24건 중 어린이 안전사고가 21건(87.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탈락된 칫솔모를 삼킬 경우 통증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유발 등의 응급상황으로 연결될 수 있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개 제품은 KS기준 충족 못 해

어린이 칫솔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른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칫솔모(강모) 다발 유지력, 칫솔 손잡이 충격(강도) 등의 물리적 안전기준이 없어 임의인증기준인 KS기준*을 적용해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조사대상 30개 중 2개 제품(6.7%)은 KS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모 다발 유지력) 일정 수준의 힘으로 칫솔모 다발을 당겼을 때 견디는지 시험
    (칫솔 손잡이 충격시험) 강한 외력에 1회 노출될 경우 기준 이상의 힘까지 견디는지 시험

칫솔모 다발의 유지력이 부적합하면 칫솔모가 쉽게 탈락해 삼킴 사고를, 칫솔 손잡이 강도가 약하면 쉽게 부러져 상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품질이 불량한 칫솔을 사용할 경우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나, 현재 어린이 칫솔에는 물리적 안전기준 등 관련 위해를 예방할 수 있는 개별안전기준이 없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4개 제품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른 표시 부적합

어린이 칫솔 제품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라 제조자명 또는 수입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제조년월, 제조국, 사용연령과 안전인증표시(KC)를 최소 포장단위에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30개 중 4개 제품(13.3%)은 제조년월, 안전인증표시(KC) 등을 표기하지 않아 기준을 위반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칫솔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관련 업체에 ▲물리적 안전성(강모 다발 유지력, 칫솔 손잡이 충격시험) 관리 강화 및 표시사항 준수를 권고하였고, 국가기술표준원에는 ▲개별안전기준 신설 및 관리ㆍ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보호자에게는 ▲안전한 칫솔 제품 선택 및 어린 자녀가 양치할 경우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10-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96 제품 사용 중 감전 위험있는 Bituxx 팬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23.04.10
3495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함유된 Boots 유아 종합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23.04.10
3494 카페인이 과다 함유되어 있는 Bang 에너지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6 2023.04.10
3493 과도한 비타민 A로 인해 반려동물 건강 위험 있는 Jungle pet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8 2023.04.10
3492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감염 가능성이 있는 KOSKA 터키식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2 2023.04.07
3491 알로인A 및 알로인B 함량이 높은 Lanzaloe 알로에 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5 2023.04.07
3490 화장품 금지 성분인 과산화바륨이 함유된 Kali Mehandi 염모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23.04.07
3489 분리된 배선이 포함되어 전기 감전이 위험이 있는 Blueque 젤네일 램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6 2023.04.07
3488 손잡이 파손 위험으로 리콜된 Mytrex Rebive 전기마사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7 2023.04.07
3487 작동 중 컵 분리로 절단 위험이 있는 Amazon Basics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4 2023.04.07
3486 터릿(Turret) 파손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XDEEP 스쿠버 레귤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3.04.07
3485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Revellino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5 2023.04.07
3484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Hatley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23.04.07
3483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23.04.07
3482 LIFE스토리 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23.04.07
3481 감전 위험 있는 Svater 야외용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5 2023.04.06
3480 착용 중 벗겨질 위험 있는 Giro Sport Design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6 2023.04.06
3479 톨루엔 성분 과다 함유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9 2023.04.06
3478 내부 단락 발생 가능성 있는 Anker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4 2023.04.06
3477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0 2023.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