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주간(10.27. ~ 11.01.) 안전사고 주의보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가을걷이가 한창인 농촌에서 경운기와 트랙터  농기계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14 ~ 18, 합계)  발생한 농기계 사고 6,981이며,   6,495 인명피해 발생하였다.

  가을 수확기인 10에는 농기계 사용이 늘면서 사고도 834으로 5월에 이어 번째로 많이 발생하였고 특히, 사망자가 79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5(14~18, 합계)간 농기계 사고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1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9pixel, 세로 240pixel

[출처재난연감]

또한,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따르면 전체 농업인 1,913,546**  59%(1,131,431) 농기계 사용하고 중에 16,961(1.5%) 관련 손상(휴업1 이상) 입었다.

 

    *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중 농기계 관련 손상 분석자료 (농촌진흥청, 2017 조사결과)

   **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사고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역별·연령별 농가인구 분포를 고려한 가중치를 적용, 전체 농업인의 농기계 관련 손상 규모 등에 대한 추정 자료

  농기계 손상자를 연령대별로 분석해 보면 70 이상이 7,081(42%)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4,939(29%), 60대가 4,299(25%)순으로 발생하였으며, 50 미만에서도 4%(642) 발생하였다.

전체 농업인, 농기계 사용 및 손상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1pixel, 세로 31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9pixel, 세로 291pixel

[출처농촌진흥청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2017 조사결과]

  농기계 유형별로는 경운기 인한 사고 절반(50%) 차지할 정도로 많이 발생하였고 사고의 74% 전도 추락 원인이다.

농기계사고 사례 >

 

19.07.25. 전남 고성군 농로를 운행 중이던 경운기 전복(801명 사망)

19.07.17. 경북 김천시 가정저수지 입구에서 경운기 전복(701명 사망)

17.10.24 전남 담양군 농로를 운행 중이던 경운기 전복(701명 사망)

농기계별 손상사고 유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3pixel, 세로 26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1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8pixel, 세로 2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9pixel

 

※기타: 콤바인, 이앙기, 기계톱 등  [출처농촌진흥청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2013-2017 조사결과]

 

  아울러 지난 2015년에 조사 농기계 사고 발생 시간대를 살펴보면 오전 11(19%), 오후 3(18%) 전후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 조사결과(2015) 

시간대별 >

 [출처농촌진흥청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 조사결과, 2015]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지키도록 한다.

  경운기 농기계로 좁은 농로, 굽었거나 경사진 등을 이동할 때는 진입하기 전에 미리 속도를 줄여 저속으로 운행한다.

   - 가장자리에 보호 난간이 없거나 풀이 무성할  도로 상태를  없어 넘어지기 쉬우니 안쪽으로 이동한다.

  농기계로 논·밭두렁을 넘을 두렁과 직각 방향으로 넘고, 특히 두렁이 높은 출입할 때는 각별히 주의한다.

  또한, 농기계 세울 평탄한 곳에 하고, 어쩔 없이 경사된 주차 때는 받침목 고여 둔다.

  아울러, 수확을 마친 농작물 농기계(경운기) 적재함에 과도하게 싣고 이동 경우 쏠림 현상으로 위험하니 주의한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농사를 마무리하느라 바쁘시겠지만 농기계 다룰 때는 사용방법 안전수칙 충분히 숙지하시고 가급적 어두워지기 전에 일을 마치시기 바라며, 피곤할 때는 사고예방을 위해 잠시 쉬었다 하는 여유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농기계 사고 관련 현황

 

최근 5(14~18, 합계)간 농기계사고 현황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발생()

163

238

570

733

969

708

629

688

742

834

504

203

사망()

12

26

44

45

60

41

50

49

39

79

27

20

부상()

140

206

478

637

842

617

526

590

666

703

423

175

<출처: 재난연감>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 연령별 현황

(단위: )

 구 분

 전체 농업인

 농업기계 사용자

 농업기계 손상자

 50대 미만

     250,993

            140,752

                  642

 50-59

     446,332

            285,473

               4,939

 60-69

     586,146

            364,125

               4,299

 70세 이상

     630,075

            341,081

               7,081

 합계

   1,913,546

          1,131,431

              16,961

  [출처농촌진흥청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2017 조사결과]
 

※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사고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역별·연령별 농가인구 분포를 고려한 가중치를 적용, 전체 농업인의 농기계 관련 손상 규모 등에 대한 추정 자료

 

 

 

 ○ 농업기계별 손상사고 유형

 

(단위: , %)

구 분

경운기

트랙터

예취기

관리기

기타

합 계

전도/추락

157 (74.4)

26 (43.3)

13 (33.3)

15 (45.4)

40 (50.6)

251 (59.5)

충돌/접촉

19 (9.0)

 6 (10.0)

 5 (12.8)

 7 (21.2)

 9 (11.4)

46 (10.9)

끼임/감김

11 (5.2)

12 (20.0)

 7 (17.9)

 3 (9.1)

11 (13.9)

44 (10.4)

떨어진

물체에 맞음

 5 (2.4)

10 (16.7)

 7 (17.9)

 2 (6.1)

 5 (6.3)

29 (6.9)

과도한 힘/  동작

 4 (1.9)

 3 (5.0)

 1 (2.6)

 3 (9.1)

 2 (2.5)

13 (3.1)

교통사고

10 (4.7)

 2 (3.3)

 2 (5.1)

 2 (6.1)

 1 (1.3)

17 (4.0)

기 타

 5 (2.4)

 1 (1.7)

 4 (10.3)

 1 (3.0)

11 (13.9)

22 (5.2)

합 계

211 (100.0)

60 (100.0)

39 (100.0)

33 (100.0)

79 (100.0)

422 (100.0)

[출처농촌진흥청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실태’, 2013-2017 조사결과]

 

2013, 2015, 2017년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결과 중 농업기계 사고의 상세분석을 위해 농업기계 관련 손상자 표본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자료

※ 전도ˑ추락: 농업기계나 작업자의 전도 혹은 추락으로 발생한 손상 사고

※ 교통사고: 다른 차량ˑ농업기계와 충돌 혹은 추돌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

※ 기타 (농기계): 콤바인, 이앙기, 기계톱 등


[행정안전부 2019-10-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13 곡물 찜질팩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2.07
1512 스마트 장난감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02.07
1511 신용카드를 이용한 지방세 등 대납사기를 조심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0.02.06
1510 홈 베이킹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20.02.05
150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팩트체크 8가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2.05
1508 전기히터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2.05
1507 2월 초 갑작스런 한파 시작, 한랭질환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2.05
1506 베이비 모니터 설치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2.04
1505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2.04
1504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0.02.03
1503 스키장 어린이 사고! 예방법 꼭 기억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01.31
1502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20.01.30
1501 중국 우한시에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1.23
1500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1.23
1499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1.22
1498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20.01.21
1497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1.20
1496 홍콩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20.01.17
1495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6
1494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1.16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