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무더워지는 날씨와 수온 상승으로 인해 해안가, 갯벌, 갯바위 등 연안에서의 물놀이, 어패류 채취(해루질) 등 레저·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도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3년 간(‘14~’16) 연안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84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388명이 사망(연 평균 129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에 집중 발생하여, 6~8월 중 연안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153명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하였다.

6~8월 중 연안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를 분석해 보면, 발생 장소는 해안가 55명(36%), 방파제·항포구 34명(23%), 해양 32명(21%) 순으로, 특히, 갯바위·방파제·항포구의 경우사망자수는 매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 별로 살펴보면 익수가 103명(6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추락 31명(20%), 고립 5명(3%), 표류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무리한 물놀이(익수)와 위험한 해안 절벽 접근에 따른 실족(추락)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부주의와 안전수칙 미준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올해만 해도 벌써 지난 5월 8일 충남 태안군 소재 해수욕장 인근 갯벌에서 30대 남성이 어패류를 채취(해루질)하다 물에 빠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지난 14일에도 강원도 삼척시 궁촌항 방파제(테트라포드)에서 50대 남성이 낚시를 하던 중 추락하여 큰 부상을 입는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사전에 기상정보 등을 확인하고, 위험구역 등에 비치된 각종 안내표지판의 준수사항을 꼭 지켜야 하며, 출입통제장소에는 절대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

또한, 갯벌에 출입할 때는 사전에 물이 들어오는 들물 시간을 확인하여 휴대폰 알람 등을 설정해 두고, 들물 전에 반드시 갯벌에서 나오도록 하며, 추락사고 위험이 높은 방파제(테트라포드)·갯바위 등에서는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연안사고는 순간의 부주의가 목숨을 잃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연안에서 안전한 레저활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 위험요소 등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꼭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4 녹을 위험이 있는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4.06.10
3693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이 혼입된 GEX 반려동물용 물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3.05.12
3692 농기계 사고 절반은 경운기 운행 중 발생, 이중 74%가 전도 및 추락!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1.03.18
3691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10.24
3690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9.04.11
3689 농기계 체인·벨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3.04.28
3688 농기계사고 경운기가 절반, 60세 이상 67%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5 2020.04.10
3687 농번기, 농기계 안전수칙 지켜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8.04.19
3686 농약 허용 기준치를 초과한 Biofish Food 물고기 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5.01.09
3685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초과된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2.07.14
3684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6.20
3683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3.02.09
3682 높은 수준의 라돈이 감지되지 않는 Elifecity 라돈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11.14
3681 높은 수준의 아크릴아마이드를 함유한 Gopure 야채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12.19
3680 높은 수준의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dmBio 유아용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3.12.20
3679 높은 수준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Zwergenwiese 토마토 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12.20
3678 누드본즈 / NUDEBONE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1.09.16
3677 누수로 인한 화상 위험 있는 Joy Mangano 스팀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0 2021.06.24
3676 누유 위험 있는 IRIS OHYAMA 휴대용 발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12.21
3675 누유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호스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17.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