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최근 독성해파리가 전국 연안에 출현하고 있어 해수욕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파리 출현정보 자료집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주로 나타나는 독성해파리는 7종으로 ‘노무라입깃 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많이 출현한다.

우리나라의 독성해파리의 발견율은 피서철인 7월 말부터 8월까지 가장 높게 나타나, 해수욕장 물놀이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중국에서 우리나라 연안으로 유입되는 외래유입 종으로, 크기가 최대 2m에 달하고, 독성이 매우 강해 해수욕객과 어업종사자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건강보험평가원에 의하면 지난 3년간(‘14년~’16년) 해파리 등 독성 바다동물과 접촉으로 발생한 환자는 총 2,303명으로 7월부터 급증하여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몸에 붙은 촉수를 먼저 제거하고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냉찜질 또는 온찜질(45℃ 내외)로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특히, 강독성 해파리에 쏘여서 호흡곤란·의식불명·전신 통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하여 응급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처를 문지르거나, 수돗물, 식초, 알코올로 세척하는 것은 독을 더 퍼지게 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안전처 조덕진 안전기획과장은 “해수욕장을 찾은 국민들께 바다에서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야 하며 해수욕 전에 독성해파리 응급대처법을 충분히 숙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7-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99 보존제 살리실산이 검출된 Stassen 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5.03.10
2998 보툴리누스균 오염 위험 있는 Primula 치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0.11.23
2997 보트형 대형 튜브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9.07.31
2996 보행 중 밴드가 탈락될 위험이 있는 등산장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4.05.10
2995 보험 가입 시 과거질병 등을 알리지 않으면 보험금 지급 거절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10.14
2994 보험 가입 후 알릴의무(통지의무) 관련 유익정보 및 유의사항을 안내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4.10.02
2993 보호 미흡으로 부상 가능성이 있는 Retrospec Scout 유아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4.02.29
2992 보호 효과가 미흡한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4.09.24
2991 보호가 미흡하여 시력 손상 가능성이 있는 Bisofice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5.01.10
2990 보호가 미흡하여 시력 손상 가능성이 있는 Bisofice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5.01.09
2989 복날 삼계탕 조리할 때…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3.07.10
2988 복어 안전 섭취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21 2015.05.06
2987 복어, 안전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2.03.29
2986 복어,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5.04.25
2985 복용량 등 법적 요건을 위반한 EFX Sports 체중감량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4.09.24
2984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11.29
2983 본격적인 겨울, 12월에는 대설·한파·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11.26
2982 본격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07.27
2981 본격적인 벌초 시기, 예초기 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0.09.10
2980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3.29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