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6월 및 상반기 항공운송시장은 항공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항공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 증가한 4,980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6월 항공여객 및 항공화물은 메르스 기저효과로 인하여 전년 동월대비 각각 44.5%(국제 47.9%, 국내 37.4%), 16.4%로 대폭 증가하였고, 상반기 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국제 15.3%, 국내 12.6%), 화물은 3.6%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3,383(’12년 상) → 3,509(’13년 상) → 3,838(’14년 상) → 4,350(’15년 상) → 4,980(’16년 상)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16년 6월 실적]

6월 국제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효과, 대학생 방학 시작 및 얼리버드 휴가족으로 인한 해외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47.9% 성장하며 5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390(’12.6) → 414(’13.6) → 459(’14.6) → 404(’15.6, 전년대비↓12.1%) → 597(’16.6)

지역별로는 ’15년 메르스로 인하여 당시 여객 실적이 감소했던 중국(80.1%), 일본(42.2%), 동남아(52.4%) 중심으로 대폭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15년 메르스 사태로 운항이 취소(감편)되었던 국제선 운항의 재개(증편)로 김해(62.5%)·제주(145.5%)·청주(176.6%)·대구(145.8%)공항 등이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이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30.5%, 96.4%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3.6%를 기록했다.(대형 45.6%, 저비용 18.0%)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7.5(’12.6) → 9.4(’13.6) → 11.1(’14.6) → 13.5(’15.6) → 18.0(’16.6)

6월 국내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 효과, 방학 및 휴가철 영향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37.4%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92(’12.6) → 190(’13.6) → 207(’14.6) → 196(’15.6, 전년대비↓5.5%) → 269(’16.6)

공항별로는 저비용항공사의 정기노선이 확대된 청주(73.0%) 공항을 비롯하여 김포(36.9%)·김해(37.2%)·제주(36.8%) 등 대부분 공항에서 여객 실적 증가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42.3%, 33.7%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5.4%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9(’12.6) → 50.2(’13.6) → 50.0(’14.6) → 57.0(’15.6) → 55.4(’16.6)

6월 항공화물은 항공여객 증가에 따른 수하물 증가 및 평판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4%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29(’12.6) → 29(’13.6) → 30(’14.6) → 29(’15.6) → 34(’16.6)

국제화물의 경우 기타지역(-0.4%)을 제외한 중국(29.0%)·동남아(21.6%)·일본(20.7%) 등 주요 지역의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1%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27(’12.6) → 27(’13.6) → 28(’14.6) → 27(’15.6) → 31(’16.6)


[‘16년 상반기 실적]

상반기 국제선 여객은 원화강세 및 유류할증료 미부과로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엔화 반등 및 일본 지진 여파로 아시아 관광객의 방한수요 확대, 메르스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15.3% 성장하며 3,4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2,287(’12년 상) → 2,440(’13년 상) → 2,673(’14년 상) → 3,030(’15년 상) → 3,494(’16년 상)

지역별로는 일본노선은 지난 4월 규슈 지진 여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대비 21.1%로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양주(18.9%) 동남아(16.0%), 중국(15.4%) 노선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무안(-11.1%) 및 양양(-82.2%)을 제외한 김해(32.9%)·제주(27.6%)·대구(53.5%)공항 등 대부분 국제선 여객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기대비 각각 8.1%, 56.0%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4.4%를 기록했다.(대형 46.5%, 저비용 17.9%)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6.8(’12년 상) → 9.3(’13년 상) → 11.6(’14년 상) → 13.2(’15년 상) → 17.9(’16년 상)

상반기 국내선 여객은 제주노선 수요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운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2.6%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096(’12년 상) → 1,069(’13년 상) → 1,165(’14년 상) → 1,320(’15년 상) → 1,486(’16년 상)

공항별로는 KTX 영향권인 광주(-6.1%) 및 울산(-5.8%)공항의 여객감소를 제외하고, 청주(49.3%)·제주(14.3%)·김포(9.3%)·김해(16.6%) 공항 등의 지속적인 여객 성장이 나타났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6.1%, 18.2%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6.3%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1('12년 상) → 47.8('13년 상) → 49.0('14년 상) → 53.6('15년 상) → 56.3('16년 상)

상반기 항공화물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비용 절감, 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국제화물의 경우 미주지역(-9.8%)을 제외한 중국(9.6%), 동남아(8.4%), 일본(5.9%)을 중심으로 전 지역의 성장세로 전년 동기대비 3.8%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157(’12년 상) → 158(’13년 상) → 166(’14년 상) → 174(’15년 상) → 180(’16년 상)

[‘16년 하반기 전망]

국토교통부는 본격적인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저비용항공시장의 공급력 확대, 내국인의 꾸준한 해외여행 수요 상승, 최근 브렉시트로 인한 엔화 반등 및 4월 일본 지진 여파로 인한 중국인 등 아시아 여객 증가 여건 개선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항공여객이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다만, 프랑스 니스 테러 및 터키 쿠데타 등으로 내국인의 유럽 여행 불안감 고조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6-07-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 '모바일 문서24’ 개통, 공문서 처리내용 모바일로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6 22
202 '맞춤형화장품' 3월 1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3 16
201 '막힌 빗물받이'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4
200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18
199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10
198 '디지털 공공서식'으로 데이터 기반 행정 가속화하고 국민 편의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1 11
197 '디지털 공공서식' 15종으로 확대해 데이터 행정 기반 다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3
196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02
195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법률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4 148
194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1 29
193 '내상조 그대로' 통합 및 상조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45
192 '내 계좌 한눈에' 시스템(1단계) 개통 이후 92.5만명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6 33
191 '나인봇원 프로' 외발전동휠 무상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190
190 '나이아신' 함유 음료 베이스 제품 등 특별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24
189 '꺾기 등 금융회사의 우월적지위 남용행위 근절대책' 추진 성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90
Board Pagination Prev 1 ...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