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2020년도 장애인 학대 신고사례를 분석한 『2020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17년부터 설치되어 장애인 학대 신고접수 및 피해자 지원, 학대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및 사후관리 등을 전담하는 전문기관 

현황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 학대 신고 건수는 4,208건이며, 이 중 학대사례는 1,008건

피해장애인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인 65.3%, 지체장애인 9.8% 순

-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 장애)은 69.6%, 학대 피해자 10명 중 약 7명에 해당

장애인 학대 유형은 신체적 학대 29.9%, 경제적 착취 25.4%, 정서적 학대 24.6% 순

노동력 착취 사례는 전체 학대사례의 8.7%(88건)를 차지

장애아동 학대사례는 전체 학대사례의 13.2%(133건)를 차지

학대 행위자는 지인 20.1%,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9.3% 순

학대 발생 장소는 피해장애인 거주지 39.1%, 장애인 거주시설 14.9%

2020년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 결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 학대 신고 건수는 4,208건으로 전년도 대비 3.8% 감소하였으나, 조사결과 학대로 판정된 건수는 1,008건으로 전년도 대비 6.7% 증가하였다.

* 학대신고건수(’19. 4,376건 → ’20. 4,208건), 학대판정건수(’19. 945건 → ’20. 1,008건)

학대 피해장애인 중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 장애)의 비율은 69.6%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 장애인 학대 유형은 신체적 학대가 29.9%(378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 착취 25.4%(321건), 정서적 학대 24.6%(311건) 순으로 나타났다.

< 학대 피해장애인 장애 유형별 비중* > <그림 붙임 참조>

< 장애인 학대 유형별 비중** > <그림 붙임 참조>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장애)의 비율 69.6%는 주장애가 발달장애인 경우 683건과 부장애가 발달장애인 경우 19건을 포함, ‘학대 피해장애인 장애 유형별 비중’ 그래프는 주장애가 발달장애인 경우 683건 기준으로 이보다 적은 67.8%임

  ** 피해장애인이 한 사건에서 여러 유형의 학대 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있으므로 학대유형(1,264건)은 학대사례 건수(1,008건)보다 많음

- 경제적 착취 중 임금을 주지 않고 일을 시키는 등의 노동력 착취 사례는 전체 학대사례의 8.7%(88건)로 나타났으며, 피해장애인은 지적장애인이 59.1%(52건)로 가장 많았다.

- 18세 미만의 장애아동 학대사례는 전체 학대사례의 13.2%(133건)로 나타났으며, 주행위자는 부모가 48.9%(65건)로 가장 높았다.

 학대 행위자는 지인이 20.1%(203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19.3%(195건), 부(父) 8.9%(90건) 순으로 나타났다. 

- 부·모·배우자·형제자매·자녀 등 가족 및 친인척에 의한 학대는 32.8%(331건)로 전년도 26.8%(253건) 대비 6.0%p 증가하였고, 동거인·이웃·지인·모르는 사람 등 타인에 의한 학대도 41.7%(420건)로 전년도 38.6%(365건) 대비 3.1%p 증가하였다.

- 반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기관종사자에 의한 학대는 24.9%(251건)로 전년도 34.0%(321건) 대비 9.1%p 감소하였다.

 학대 발생 장소는 피해장애인 거주지가 39.1%(394건)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거주시설이 14.9%(150건)로 두 번째로 높았다.

< 장애인 학대 발생 장소 >

(단위 : 건, %)

구 분피해장애인 거주지장애인 거주시설직장학대행위자 거주지기타
학대사례건수3941509993272
비율39.1%14.9%9.8%9.2%27.0%

장애인학대 의심사례 2,069건 중에서 신고의무자가 신고한 경우는 35.2%(728건), 비신고의무자가 신고한 경우는 64.8%(1,341건)으로 나타났다.

< 장애인학대 신고자 유형 >

(단위: 건, %)

신고의무자비신고의무자계 
신고횟수비율신고횟수비율신고횟수비율
72835.21,34164.82,069100.0

- 신고의무자 중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의한 신고가 15.9%(329건)로 가장 많았으며, 비신고의무자는 장애인단체 등 장애인지원기관 종사자에 의한 신고가 14.2%(294건), 본인이 신고한 경우가 13.2%(274건), 가족 및 친인척이 신고한 경우가 11.5%(238건)으로 많았다.

  - 피해장애인 본인이 직접 신고한 경우는 274건으로 전년도 162건 대비 69.1% 증가하였다.

* 신고의무자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활동지원인력 등 직무상 장애인 학대를 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직군으로,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4 제2항에 따라 직무상 장애인 학대 및 장애인 대상 성범죄를 알게 된 경우, 지체 없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하여야 함

이번 보고서 발간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는 그간 장애인 학대 예방 및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많은 법령·제도를 개선하였으며 앞으로도 피해장애인 보호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장애인학대관련범죄에 대한 실효적인 규제가 가능하도록,

- 장애인학대관련범죄의 정의를 신설하여 취업제한명령 대상에 장애인학대관련범죄를 추가하고, 장애인관련기관을 적용기관으로 확대하였으며,

- 상습적으로 또는 신고의무자가 자기 또는 보호·감독 또는 진료를 받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학대관련범죄를 범한 때에 가중처벌하는 규정을 신설하여 장애인학대관련자에 대한 처벌 강화 근거를 마련하였다.

* 장애인복지법 제2조제4항 신설,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3 개정, 장애인복지법 제88조의2 신설(2020.12.29.)

장애인학대 현장에서 신속히 피해장애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 학대피해장애인의 인도를 요청받은 기관의 장이 정당한 사유 없이 인도를 거부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사후관리 업무수행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경우 등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 학대 현장의 대응체계를 정비하였다.

*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7제2항, 제90조제1항제2호, 제90조제3항제3호의6 신설(2020.12.29.)

- 또한, 장애인학대 사건의 피해장애인 및 그 법정대리인이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특례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학대 피해장애인의 형사절차상 권익을 보다 두텁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15 신설(2020.12.29.)

장애인학대 신고 활성화를 위하여,

- 장애인학대 신고의무자가 소속된 기관의 장 등에게 신고의무에 관한 교육을 실시할 의무와 그 결과 제출 의무를 부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신고의무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고,

*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4제6항 개정, 제59조의4제7항 신설(2020.12.29.)

- 올해 4월부터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문자신고서비스를 실시하여 청각·언어장애인이 문자 또는 카카오톡을 통해 장애인학대를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장애인학대 근절과 예방 체계 구축을 위하여, 

- 장애인학대사건 발생 시 경찰청과의 원활한 협력 및 피해장애인 지원과 신속한 학대상황 대응을 위해 ‘경찰관을 위한 장애인학대 대응 안내서’를 발간하였으며,

- 발달장애인 및 대국민 대상 홍보 강화를 위해 온라인 카드뉴스 및 홍보 영상, 읽기 쉬운 자료 등을 제작·배포하여 장애인학대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2021-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04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현황('15.1.20)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11
13603 24개 사업자의 블로그를 통한 기만적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23
13602 대포통장 증가 금융사에 대한 점검 및 대응책 조속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37
13601 과도한 온도상승 전기찜질기 등 결함보상(리콜)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43
13600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53
13599 애완견 물림 사고, 가정에서 10세 미만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356
13598 한국암웨이(주) 언더싱크 정수기 급수관 자발적 무상점검·교환 등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78
13597 잡코리아의 부당한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13
13596 2014년 항공여객 8천만 명 돌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17
13595 학교급식 식재료 안전관리 강화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18
13594 “ 안전한 먹을거리로 국민행복을 이끌겠습니다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07
13593 의약품 중 비의도적 유해물질 위해평가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40
13592 「의료기기 품목의 소분류 및 등급」제정 공고 행정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30
13591 자동차 혼유사고 관련 분쟁사례 및 운전자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225
13590 임대주택 리츠, 개인으로 투자저변 확대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2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13 Next
/ 91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