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전체 국민의 73.8%가 한방의료이용 경험 있어, 주로 근골격계 질환 치료를 위해 이용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우리 국민의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 취급 기관의 한약소비 실태를 조사하여 결과를 발표하였다.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는 일반국민 5,000명,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래환자 1,010명, 입원환자 904명 등 총 6,914명을 대상으로 한방의료 이용 경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한약소비 실태조사는 한방의료기관(한방병원, 한의원 등) 및 한약조제․판매기관(한약조제약사 및 한약사가 근무 중인 약국, 한약방) 2,800개소를 대상으로 한약 처방, 조제, 판매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이 실태조사는 국민들에게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한의약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생산하고자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17년 9월부터 12월 까지 진행하였다.

일반국민 대상 한방 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용 경험) 일반국민의 73.8%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90.6%로 가장 높고, 50대 86.1%, 40대 77.7% 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별 평생 한방의료 이용 경험 > : 첨부된 자료 참고

한방의료를 이용하는 주요 질환으로는 요통이 52.7%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염좌(삠), 오십견 및 견비통(어깨부위 통증) 등 순으로 나타났다*.

* 복수 응답, 치료 질환 모두 선택

한방진료 시 이용한 치료법은 이용자의 90.2%가 침 시술을 받았고 부항 53.0%, 뜸 49.1%, 한방물리요법 40.2% 순 등으로 이용하였다*.

* 복수응답, 이용한 한방치료법 모두 선택

(국민 인식) 국민의 34.9%가 한방의료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한방의료에 대한 정보나 지식은 가족, 친구 등 주변사람을 통해 가장 많이 획득(38.6%)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방송 매체 27.3%, 한방의료기관 24.9% 순 등이었다.

(향후 이용 의향) 전체 국민의 84.2%가 향후 한방의료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50대 이상인 경우 10명 중 9명이 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외래 및 입원 환자 대상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용 실태) 지난 1년간 한방 외래진료 이용 횟수는 평균 11.6회이었고, 한방 입원진료 이용 횟수는 평균 1.7회이었다.

< 한방외래진료 이용 횟수 > : 첨부된 자료 참고
< 한방입원진료 이용 횟수 > : 첨부된 자료 참고

한방 의료기관 외래·입원 진료 시, 치료받은 주요 질환은 척추질환(허리부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관절염 순 등으로 나타났다.

한방 외래 환자의 50.4%가 외래 진료를 이용하기 전 동일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하였고, 한방 입원 환자의 46.9%가 입원 진료를 받기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하였다.

한방외래진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응답률은 86.5%였고, 한방입원진료에 대한 전반적 만족 비율은 91.3%이었다.

(향후 이용 의향) 외래 환자 중 향후 의료서비스 필요 시 한방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경우는 96.4%이였고, 입원 환자 중 91.8%가 향후 한방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약소비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약소비기관의 2016년 연간 탕약 및 한약제제 소비 건수를 보면 한방의료기관*에서 96.6%(주로 한의원(84.9%)에서 소비)를 소비하고 한약 조제·판매기관**에서 3.4%를 소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한방의료기관) 한방병원, 기타 병원급 의료기관(한방진료과목이 있거나 한의사가 근무하는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 포함) 및 한의원
** (한약 조제·판매기관) 한약조제약사 또는 한약사가 근무하는 약국, 한약방

< 한약소비 현황 > : 첨부된 자료 참고

2015년 대비 2016년 탕약 및 한약제제의 처방·조제·판매 건수의 변화를 묻는 문항과 관련, 한방의료기관은 전년 대비 ‘비슷’ 또는 ‘감소’ 순으로 응답하였다.

한약 조제·판매기관에서는 한약 중 탕약은 ‘감소(69.6%)’, ‘비슷(29.2%)’ 순으로, 한약제제는 ‘비슷(50.4%)’, ‘감소(45.8%)’ 순으로 응답하였다.

한방의료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한약재는 당귀, 감초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약 조제·판매기관의 경우에도 당귀, 감초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방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약을 가장 많이 처방하는 질환을 조사한 결과, 탕약을 다빈도로 처방하는 질환은 근골격 질환(53.5%), 소화기 질환(20.3%)이고, 보험 적용 한약제제 다빈도 처방 질환은 근골격 질환(56.7%), 호흡기 질환(18.8%) 순으로 확인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한방의료분야 주요 개선 필요 사항으로 ‘건강보험 적용 확대’, ‘한약재 안전성 확보’, ‘한의과와 의과의 원활한 협진’ 등이 도출되었으며, 한약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강보험 적용확대’, ‘품질관리 강화’, ‘치료효과 홍보’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금번 조사 결과를, 의·한(醫-韓)간 협진 활성화 시범사업, 한약 공공인프라 구축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의-한 간 협진 시범사업 총 3단계 계획을 마련하고 표준 협진 모형을 개발·적용하는 2단계 시범사업을 진행(‘17년 11월~)하고 있으며,

한약 품질 관리 강화를 위해 2017년부터 한약 비임상연구시설(GLP), 임상시험용 한약제제 생산시설(GMP), 탕약표준조제시설 등 공공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 보건복지부 2018-0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38 냉방기기, 국외여행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6 20
5437 냉동피자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31 12
5436 냉동식품을 택배로 배송할 때 드라이아이스가 효과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37
5435 냉동새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18
5434 냉동볶음밥, 주요 영양성분이 한 끼 식사로 다소 부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0 5
5433 냉동만두, 피 두께·만두소 비율 등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2 9
5432 냉동과일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4 5
5431 냉동고추 건조업체 및 다진 양념 고추 수입업체 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5 113
5430 냉동 핫도그 영양성분·원재료 함량,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7
5429 냉동 치킨, 중량 및 영양성분이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1 13
5428 냉난방비 부담 줄여주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2 93
5427 내일이룸학교 다녀간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6명이 취업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5426 내일부터 방역지침 관련 시설 관리·운영자 처분부담 완화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5425 내일배움카드 발급이 더 쉬워졌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8 48
5424 내용물은 비우고 상표띠는 뜯고 뚜껑은 닫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16
Board Pagination Prev 1 ...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