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환경부, 4월 26일 5개 대형마트 및 소비자 단체와 '1회용 비닐쇼핑백·과대포장 없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 체결

▷ 속비닐 사용량 50% 감축을 목표로 유색·코팅된 식품포장재 안쓰고 추가포장 자제 등 추진


대형마트가 소비자와 함께 비닐봉투 사용과 과대포장을 줄이기로 했다.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농협하나로유통, 롯데마트, 메가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5개 대형마트 사업자를 비롯해 ㈔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1회용 비닐쇼핑백·과대포장 없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4월 26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했다.

환경부와 5개 대형마트는 마트 내에서 1회용 비닐 사용과 과대포장을 줄이는 친환경 소비문화를 정착시켜 자원을 절약하고 국민적 실천을 확산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은경 환경부 장관, 5개 대형마트 사업자 대표 및 소비자시민모임 부대표가 참석했다.

* 참석자 : 김은경 환경부 장관, 김성광 농협하나로유통 대표이사, 이주희 이마트 부사장, 강성태 메가마트 MD본부장(전무), 남창희 롯데마트 MD본부장(전무), 전화수 홈플러스 운영부문장(전무), 문미란 소비자 시민모임 부회장

이번 협약은 1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이 2013년 192억 개에서 2014년 212억 개, 2015년 211억 개 등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특히 마트에서 식료품류를 별도로 한 번 더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비닐은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1회용 봉투·쇼핑백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규모 점포 및 도·소매업소에서 무상제공이 금지되고 있으나,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종이봉투나 속비닐 등은 법적인 관리수단이 없어 쉽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표0

* 서울시 거주 주부 대상 비닐봉투 사용실태 모니터링(`16.4.18~5.17) 결과, 방문 1회당 평균 57.1%가 비닐봉투를 사용하는 반면, 속비닐은 100% 사용

또한, 식품 포장용 '발포 합성수지(스티로폼)' 재질의 받침대(트레이)표 색상이 다르거나 코팅된 경우가 많아 재활용되기 어렵다.

추가증정(1+1) 등의 마트용 행사상품에 추가 포장이 과다하게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번 자발적 협약 체결을 계기로 대형마트는 매장 내 속비닐 사용량을 50% 이상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속비닐 비치 장소와 크기를 축소하는 등 속비닐 사용량을 줄일 계획이다.

또한,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또는 코팅된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식품 받침대(트레이) 사용을 지양하고 무색, 무코팅 받침대를 사용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이 밖에 행사상품의 추가포장을 자제하고 과대포장 제품은 입점을 제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원을 절약하고 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여나가는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이날 협약식 이후 서울 성동구 이마트 성수점에 방문하여 속비닐 사용 현황을 살펴볼 예정이다.

1회용 비닐 대신 대여 중인 장바구니 등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대형마트와 소비자, 정부가 협력하여 친환경 유통·소비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할 계획이다.

이병화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비닐봉투 등 1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유통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소비자들도 환경보전과 자원순환사회 구현을 위해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04-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48 연금저축계좌의 연금수령 개시일을 확인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5 113
5647 하도급법상 요구가 금지되는 경영상 정보의 종류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5 48
5646 "급가속·급감속·과속 제로" 친환경 운전습관 캠페인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4 77
5645 대리점거래 불공정관행 근절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4 35
5644 기아, 르노, 벤츠, 볼보, 포르쉐, 피아지오, 인디언 리콜 실시(총 30개 차종 287,955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4 45
5643 상습 체납차량 번호판 일제 영치의 날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1
5642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관련 집단분쟁조정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9
5641 안전하게 조제된 한약인지 확인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9
5640 기초연금 ‘소득역전방지 감액제도’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116
5639 내년부터 자율주행 버스·화물차 일반 도로에서 만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3
5638 매매한 부동산의 재산세는 누가 부담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43
5637 산란계 농가의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29
5636 상조회사가 소비자의 계약해제 신청을 방해하는 사례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5
5635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신고는 쉽게, 출동은 빠르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0
5634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및 HACCP 허위표시 업체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41
Board Pagination Prev 1 ...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