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9개 국립공원 35개 구간 33.4km 무장애 탐방로 조성

▷ 국립공원 야영장 12곳에 74동의 무장애 야영지 운영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교통약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자연이 주는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공원 내 무장애 탐방 기반시설을 늘리고 다양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 방문이 어려운 교통약자들의 이용편의 증진을 위해 2001년부터 최근까지 19개 국립공원에 총 길이 33.4km(35개 구간)의 무장애 탐방로를 조성했다.  

무장애 탐방로는 휠체어 등을 사용하는 교통약자가 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턱이나 계단 같은 장애물을 없애고 길을 평탄하게 조성한 탐방로다.

숲, 계곡 등 경관자원이 풍부한 구간을 선정하여 평균폭 1.5m 이상, 평균 경사도 1/12(8.3%) 이하로 조성하여 보호자를 동반한 휠체어 사용자나 유모차를 쓰는 부모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주차장, 공중화장실 등의 기반시설과의 접근성도 편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해 10월까지 월악산 송계야영장~송계계곡 구간 1.3km 및 치악산 세렴폭포~대곡자연학습원 구간 1.5km를 추가하여 2022년까지 무장애 탐방로 구간을 기존 35개에서 71개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치악산 등 국립공원 야영장 12곳에 74동의 무장애 야영지를 조성했다.
무장애 야영지는 교통약자들이 쉽게 야영을 할 수 있도록 주차장, 화장실, 내부 보행로에 단차를 없애며, 텐트를 설치하는 바닥면을 넓히고 완만한 기울기로 정비한 곳이다.

무장애 야영지는 취사장, 화장실, 샤워장 주요 편의시설 근처에 조성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해 10월까지 지리산 달궁야영장 2개, 덕유산 덕유대야영장 2개 등 총 4개의 무장애 야영지를 추가로 조성하고, 2022년까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운영 중인 전체 야영장에 각각 4개 이상의 무장애 야영지를 조성, 약 160개를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해 탐방객 1만 1,017명을 대상으로 '국립공원 여가·휴양 실태'를 조사한 결과, 38.6%의 탐방객이 교통약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교통약자의 비율은 노인 23%, 어린이 동반 9.1%, 영·유아 동반 4.6%, 장애인 1.4%, 임산부 0.5%로 조사되었다.

신창호 국립공원관리공단 공원시설부장은 "교통약자를 위한 보편적공원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국립공원의 가치를 다양한 계층에서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8-04-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63 코리아텍 ‘고교생 과학캠프’ 200명 전국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0 31
5662 2017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7 31
5661 「연명의료 시범사업」 10월 23일부터 내년 1월 15일까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31
5660 온라인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측정지표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31
5659 포르쉐, 닛산 리콜 실시(총 2개 차종 385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31
5658 국민권익위, 장애인 행정서비스 확대·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31
5657 소비자를 위한 추석 명절 대비 유용한 금융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5 31
5656 공공주택사업 부실시공‧전관유착 집중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0 30
5655 약자복지를 지원하는 노인일자리 사업, 2027년 노인인구의 10%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8 30
5654 여름철 모기기피제.제모제, 올바르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5653 최면진정제.마취제, 안전하고 적정한 사용기준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5652 서민·청년층을 속이는 「주택·중고차 미끼용 가짜매물 특별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0
5651 ‘자동차 교환·환불 중재제도’ 개선으로 소비자의 권익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6 30
5650 청년취업에 필요한 실무경력 인정 문턱 확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4 30
5649 비엠더블유·르노·포르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5 30
Board Pagination Prev 1 ...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