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12월 말부터 5대 광역시와 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강원 일부 지역에서 지상파 UHD 방송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 이어 광역시와 강원 지역에서도 내년 2월 9일부터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초고화질(UHD)의 생생한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시청자들은 2017년 출시된 UHD TV(ATSC 3.0 방식)를 구비하거나 2017년 전에 출시된 UHD TV에 전용 수신장치(셋톱박스)를 연결하여 UH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1. 어느 지역에서 볼 수 있나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등 5대 광역시와 그 주변 지역, 원주?강릉?평창 등 강원권 일부 지역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다만, 방송 구역에 포함되더라도 고층 건물, 산악 지대 등 주변 환경에 따라 방송수신 상황이 지역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신가능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 방송국에 문의가 필요하다.

해당 방송국들은 12월 28일부터 31일 사이 본방송을 시작하여 새해부터는 전국 5대 광역시 및 평창올림픽 개최지역(평창, 강릉 등)에서 UHD 방송시청이 가능하게 될 예정이다.

2. 어떻게 볼 수 있나?
일단 2017년 출시된 미국식(ATSC 3.0 방식) UHD TV를 구매하거나, 2017년 이전 출시된 유럽방식(DVB-T2 방식) UHD TV에 전용 수신장치(셋톱박스)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TV 등 수신장치가 있을 경우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해당주파수 대역(UHF)을 지원하는 수신안테나가 필요하며, 안테나는 가전사 대리점 또는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구입 할 수 있다.

수신장치에 UHF 안테나를 연결하고, TV 리모컨을 통해 “자동채널 설정”을 작동하면 지상파 UHD 채널 선택이 가능하다.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에서는 개별 안테나를 통해 시청하거나 공동수신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UHD를 시청할 수 있다. 다만, 대규모 공동주택의 경우 지상파 UHD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추가 설비구축 등 기술적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 자세한 UHD TV 시청방법은 “지상파 UHD 방송 수신가이드”(붙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3. 도움 받는 법
(1) (방송시청 구역 관련)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방송시청이 가능한지 여부는 해당 지역 방송사로 문의하면 된다.

(2) (TV 관련 문의) 보유한 TV에서 방송시청이 가능한지 여부는 TV 제조사에 문의하면 된다.

(3) (채널설정 및 종합안내) 채널 자동설정 등 지상파 UHD 시청과 방송시청 구역 등 지상파 UHD 관련 종합적인 사항은 한국전파진흥협회에서 운영 중인 디지털방송시청지원센터(국번없이 124)에 문의하면 상세한 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다.

4. 앞으로의 일정
이제 지상파 UHD 방송 1단계-수도권(‘17년 5월 31) 도입에 이어 2단계-광역시·강원권 도입을 완료하였다. 향후 2020년~21년까지 전국 시군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무료 보편서비스인 지상파 UHD 방송을 통해 국민들이 고품질의 차세대 방송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도록 수신환경 개선 등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이다.



[ 방송통신위원회 2017-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광역시·강원권 지상파 초고화질 방송(UHD)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39
8677 2017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4
8676 금융꿀팁 200선 - (76) 사모펀드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7
8675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6곳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47
8674 재난취약시설 의무보험 계도기간 연장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9 36
8673 차세대 사건 처리 및 분쟁조정 통합시스템 오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5
8672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대상 질환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46
8671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안 등 보건복지부 소관 3개 법안, 12월 29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4
8670 매년 5월 10일 ‘한부모가족의 날’로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0
8669 성범죄자 최대 10년간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에 취업 못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4
8668 국내결혼중개업체 현황 시․군․구 홈페이지를 통해 매월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0
8667 2018년 행정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43
8666 전자서명으로 주민자치의 새 장을 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30
8665 금융감독원, 외국어 금융민원 번역서비스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2 43
8664 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금리 2.25%→2.20%로 인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3 33
Board Pagination Prev 1 ...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