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마트병원, 디지털 기술로 더 안전합니다.

- 2020년 스마트병원 효과평가 및 2021년 스마트병원 중간점검 학술토론회(심포지엄) 개최(10.29)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10월 29일(금) 오후 2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심포지엄(학술토론회)을 개최하였다.

 ○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지원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환자 안전을 강화하고 의료 질을 높일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 이를 검증하여 확산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로 선정되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3개 분야(총 18개 분야)를 지원한다.
 ○ 1차 년도인 2020년 스마트병원은 ‘감염병 대응’을 주제로 3개 분야 5개 연합체(이하 컨소시엄)*를 지원(2020년 10월∼2021년 4월)하여,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병원 차원의 신속·정확한 감염 대응 강화, 중환자의 진료의 질 향상, 의료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목표로 선도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 2차 년도인 2021년 스마트병원은 ‘환자 체감형’을 주제로 3개 분야 5개 컨소시엄*에서 선도모델을 개발 중(2021년 5월∼12월)이다.

    * 강원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국립암센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삼성서울병원

  - 병원 내 환자 안전관리, 항암환자에게 스마트 항암제를 투여하는 등의 스마트 특수병동, 병원 물품 재고관리 등에 편리한 지능형 워크플로우를 개발하고 있다.

 ○ 이번 심포지엄에서 ‘2020년 스마트병원 효과평가 연구’와 함께 ‘2021년 스마트병원 추진현황’을 점검·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① 병원 내 환자 안전 관리를 위해 개발 중인 지능형 CCTV 모델*은 스마트한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지능이 CCTV로 녹화된 영상을 학습하여 인간의 행동을 인식하고 낙상 등 위험한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여, 의료진에게 즉시 알림서비스를 제공함

  ② 욕창관리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발생률을 15% 감소*시키는 등 혁신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욕창 발생 전단계부터

  - 욕창 발생이 쉬운 고위험군 환자의 체위변경 현황과 누락 여부 확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욕창통합중재시스템으로 관리한다.

 


  ③ 또한, 스마트 암병동에서 암환자가 ‘스마트 항암 외래주사실’에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활력징후와 암성통증 관찰을 도와준다.

  - ‘스마트 무균병동 시스템’에서는 출입자동기록부와 비대면 회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④ 의료진 피로도를 줄여주는 스마트 응급실, 스마트 외래, 스마트 입원실을 하나로 엮는 ‘지능형 헬스케어 최적화 시스템’도 구현한다.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응급실 흐름*, 자원분석을 활용하고, 실내에서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한 장비도 도입하여 환자 안전을 돕는다.

    *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중증도가 높은데 진료가 지연되고 있으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의료진에게 알림

  ⑤ 또한, 그간 병원에서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물품이 많아 이를 구비하고 관리하기 위해 많은 노동이 필요하였는데, 이를 개선코자,

  - 필요한 의료물품의 수량을 병동별로 미리 예측하여, 자동으로 재고가 관리되는 모델*을 개발하여 스마트병원 물류서비스 혁신을 추진한다.

    * 병동에서 당일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물류를 자동으로 배송하여 주는 시스템

□ 이날 행사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이형훈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경험을 공유하고, 서비스의 혁신이 가져다주는 효과를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 아울러 “디지털기술과 의료서비스의 융합을 통해 환자와 의료진 등이 현장에서 보다 스마트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확산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권순만 원장은 “스마트병원 효과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연구하여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 (효과평가 6대 지표) 데이터 가치, 기술구현, 사용자 경험, 병원서비스 질, 병원 운영 효율성, 경제성 효과

 ○ “효과평가를 통해 단순하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병원 업무가 자동화·간소화되어, 병원 직원의 피로를 줄이며, 병원의 운영이 더 효율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라고 밝혔다.

  - 또한, “미래 스마트병원의 방향성과 목표를 제시하고 우리나라가 디지털 보건의료서비스 강국의 지위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이 병원과 의료정보·데이터 분야 발전을 주도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정부는 올해 진행 중인 5개 컨소시엄에 대해서도 지속 지원하여 스마트병원의 혁신 성과를 창출하고,

 ○ ’25년까지 이어지는 스마트병원 구축 사업을 통해 확산 추진하여 병원의 디지털 변화를 계속하여 이어나갈 예정이다.


   ※ (참고) 보도자료 :「더 안전하고 편하게, 스마트병원이 앞장섭니다∼」(5.20,목), 「의료와 ICT의 융합, 스마트병원,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가 시작됩니다∼」(7.2.금)

< 붙임 > 1. 심포지엄 개요2. 2020년 스마트병원 효과평가
          3.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 개요(2020〜2021년)


[보건복지부 2021-10-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68 2020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7
10867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 온라인에서 판매.구매 모두 안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6
10866 “경험은 나눔, 일자리는 이음” 2022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오늘부터 신청하세요 (11.29.~12.1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19
10865 “살생물제품으로 피해 입으면 구제신청하세요”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2월 3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8
10864 비엠더블유, 캐딜락, 벤츠 결함시정(리콜) 실시 [총 3개사 223,33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6
10863 환경친화적 재활용 폴리에스터 재킷, 안전하고 품질도 양호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62
10862 차아염소산수 살균·소독제 일부 제품, 기준·규격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4
10861 '해외직구식품 올(ALL)바로'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6
10860 자동차용 타이어 안전성조사 결과, 2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0
10859 건설현장 인력·장비 갈등 국토부에 직접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9
10858 2021년 종합부동산세 신고,납부기간은 12.1.~12.15.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9
10857 2022학년도 1학기(1차) 국가장학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5
10856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1.2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3 6
10855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1.2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3 7
10854 방통위, 통신요금 할인 혜택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2 9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