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2018년 결핵역학조사 결과 발표
○ ‘18년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 총 4,041건 시행, 결핵환자와 접촉한 12만 2913명 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81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9,263명 발견
○ ‘18년 결핵환자 가족접촉자 총 3만 380명 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54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6,711명 발견
◇ 가족‧집단시설 내 결핵환자 발생 시 접촉자조사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와 조사를 통해 발견된 잠복결핵감염 양성자는 반드시 치료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학교, 직장,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 내 결핵환자 발생 시 접촉자조사 결과를 분석한「2018년 결핵역학조사* 주요결과」를 발표하였다.

* ‘13년부터 결핵전문역학조사반을 전국 3개 권역(수도권, 중부권, 영남권)에 26명을 배치하였음.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잠복결핵감염 양성자는 예방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하고자 함.

ㅇ 2018년에 신고된 전체 결핵환자 3만 3796명 중 집단시설에 소속된 결핵환자는 8,395명이었으며, 그 중 역학조사 기준*에 따라 총 4,041건을 조사(전년 대비 7.5% 증가)하였다.

* 결핵환자의 객담을 포함한 호흡기검체 검사(도말검사, 핵산증폭검사, 배양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직장은 배양양성 제외)

□ 2018년 결핵역학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집단시설별 결핵역학조사 실시 건수는 직장이 1,503건(37.2%)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관이 983건(24.3%), 사회복지시설 746건(18.5%) 순이었다.

ㅇ 현장조사를 통해 접촉자로 선정된 12만 2913명의 결핵검사(흉부 X선) 결과 추가 결핵환자 181명을 조기에 발견하였다.

ㅇ 또한 접촉자 중 결핵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5만 334명은 잠복결핵감염 검사(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한 결과 9,263명(18.4%)이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ㅇ 아울러, 2018년 신고 된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3만 380명)을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54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6,711명(28.8%)이 진단되었다.

* 가족접촉자 :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 및 동거인

□ 결핵역학조사 및 가족접촉자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사 양성자의 치료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ㅇ 결핵역학조사 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 양성자의 치료 시작률은 37.6%, 치료를 시작한 사람 중 완료율은 79.3%로, 집단시설별 치료완료율은 교정시설 92.0%, 학교가 81.8%, 의료기관이 81.6% 순이었다. (붙임2-3참조)

ㅇ 가족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 양성자의 치료 시작률은 41.4%, 치료를 시작한 사람 중 완료율은 67.1%였다.

ㅇ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잠복결핵감염 양성자에 대해 지속적인 치료 권고와 관리를 하고 있으며, 잠복결핵감염 치료는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 질병관리본부 박미선 결핵조사과장은 “결핵환자와 장시간 같은 공간에서 생활한 접촉자는 결핵감염 고위험군이므로 반드시 역학조사에 협조하고, 잠복결핵감염 양성자의 경우 미치료자가 치료자에 비해 결핵 발병 위험이 3~4배 높으므로 치료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9-04-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58 상속인금융거래조회에 상거래 연체정보까지 포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2 304
13657 일상생활에 큰 불편『오십견』,“통증 초기 체계적이고 꾸준한 관절 운동이 중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2 212
13656 산후조리원 식품취급시설 위생 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2 190
13655 소비자를 움직여야 농업·농촌이 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185
13654 특정일 대비 초콜릿류, 캔디류 제조업체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187
13653 화장품 겉포장·샘플에도 사용기한 표시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230
13652 사기와 비도덕적 기업인 홈플러스, 불매운동으로 단호히 대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216
13651 저축은행 자체 채무조정제도 및 대출거절 사유 고지제도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93
13650 투자 권유절차 실태점검 및 감독방안 마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77
13649 눈·코 성형수술,‘비대칭’부작용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02
13648 용도지역별 도로 확보율 기준 현실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11
13647 NEWSTAY 정책 및 취약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66
13646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 수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65
13645 유방재건술 등 선별급여 적용 결정 및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 보고, 병원 간 협진 수가 시범적용 방안 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26
13644 민간유사 정부앱 개발은 그만!, 민간이 서비스 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9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