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2015년도 농식품 소비자정책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경제·사회발전으로 인한 소비환경 변화, 소비자 권리의식 확대 등 빠르게 변화하는 농식품 소비자정책 수요에 적극 발맞춰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번에 마련한 농식품 소비자정책 추진계획은 소비자가 공감하는 소비자정책 실현을 목표로 ▲농식품소비자 역량강화 지원, ▲농식품 정보제공 서비스 확대, ▲소비자 소통채널 강화 및 협력체계 구축, ▲소비자 알권리 확보, 합리적인 소비활동 지원 등 4개 분야 9개 세부 실천과제를 마련하여 추진한다.
먼저 농식품 소비자 역량강화 지원을 위해 기존 중앙·수도권 중심의 소비자 교육·홍보를 지역 소비자·단체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그룹단위로 확산하고, 소비자가 소비자를 교육하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 일반 소비자 그룹의 소비자 교육에서 농산물MD, 영양사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그룹 대상으로 하는 ‘농식품 소비 리더스 아카데미’, 유통업체와 연계한 ‘로컬푸드 소비자교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농식품 스마트소비 아카데미’를 운영할 계획이다.
○ 소비자가 소비자를 교육하는 ‘농사랑알리미’는 ‘17년까지 800명을 육성하고 ‘찾아가는 소비자교육 서비스‘로 잠재된 교육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한다. 또한, 미래 소비자 육성을 위한 ’대학생 농사랑알리미‘ 사업도 금년도에 시범 운영 추진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소비자에게 다양하고 신속·정확한 소비·식생활 정보 제공을 위해 분산되어 제공되는 여러기관의 농식품 정보제공 사이트를 농식품종합정보망(foodnuri)과 연계·구축하여 정부3.0 기반의 원스톱 정보제공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 ‘15년까지 16개 기관의 21개 사이트와 연계 구축
○ 또한, 농식품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ubiquitous) 원스톱 이용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구축 및 모바일 웹 기능개선으로 이용에 편리성을 높이는 한편,
○ 제철 농식품 중심의 비교·분석형 ‘농식품 컨슈머리포트’ 제공, 농식품 및 식생활 관련 식품괴담 등의 ‘오해와 진실’을 전문가를 통해 바로잡는 농식품 전문 소비자 저널 ‘소비공감’도 제작·배포한다.
세 번째로 소통기능 강화를 위해 부내 농식품 소비자정책 총괄 기능의 ‘농식품 소비자정책 협의회’를 구축하여 지자체, 유관기관 등과 기본계획 협의, 소비자 협력사업 활성화·효율화를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지역 소비자(단체장) 간담회, 소비자단체장 농정공감 농촌현장 투어, 농·소·정 간담회 등을 현장중심의 소통의 장(場)을 정례화하고, 농식품 정책·제도 등을 소비자 관점에서 평가·건의·피드백하는 ‘소비자 지향성 평가’를 도입하여 소통기능을 강화하고 농업·농촌 가치 확산 노력을 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안심·안전 농식품 시장환경을 조성하고 소비자 알권리 제공 등 합리적 소비·선택권 보장을 위해 원산지 표시판 크기 확대, 지도단속 강화 등 제도개선 및 효율적인 관리와 함께,
○ GAP 인증 농산물 확산, 방사능·중금속, HACCP 등의 농축산물 안전관리 및 학교급식 등 소비자 관심이 높은 분야에 대해 중점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 이와 함께 소비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확산, 바른 식생활교육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추진기반*도 마련하여 추진 할 계획이다.
* 제2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15∼’19), 공동식생활지침 마련 등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인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이 농정 고객으로 농정 및 농식품의 소비자 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농식품 소비자에게 다양한 정보제공, 역량제고, 선택권보장 등 최적의 소비자 환경조성, 농식품 소비문화 확산은 곧 농식품 산업 경쟁력에 초석이다.”라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2-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26 소비자 피해 많은 해외 인터넷 쇼핑몰 조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9 280
5925 소비자 현혹 ‘온라인 불법광고’ 퇴출시킨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9 92
5924 소비자 혼란 주는 휴대폰 요금제 명칭 바뀐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119
5923 소비자, 화장품 허위.과대광고 주의 요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3 73
5922 소비자가 금융상품 비교공시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금융상품 비교공시정보 안내 동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0 37
5921 소비자가 보험약관의 중요한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시각화된 보험약관 요약 안내자료를 제공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12
5920 소비자가 알아두면 유익한 보험관련 정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05
5919 소비자가 알아두면 유익한 신용카드 관련 정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07
5918 소비자가 원하는 조합으로 건강기능식품 소분.포장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3 9
5917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사료 표시사항 개선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6 33
5916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식품의 표시 방법 변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74
5915 소비자가 체감하는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보통’수준 보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8
5914 소비자기본법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9 36
5913 소비자기본법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7
5912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4 26
Board Pagination Prev 1 ...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