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터넷교육서비스, 피해자 2명 중 1명은 초··고생

 

- 계약해지 거절, 위약금 등 과다 공제 피해 많아 -

이 자료는 1월 30일(금) 석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월 30일 오전 6시)

 

이용료를 할인해 주거나 고가의 사은품 등을 제공하여 충동 계약을 유인한 후 소비자가 계약 해지를 요청하면 이를 거절하거나 과다한 위약금 을 공제하는 등 인터넷교육서비스 관련 피해가 지속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최근 3년(2011년~2013년)간 접수된 인터넷교육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건수는 총 1,158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14년 1월에서 10월까지도 404건이 접수되었다.

* 피해구제 접수건수 : ‘11년) 285건 → ’12년) 398건 → ’13년) 475건 → ’14년 10월) 404건

 

□ 계약해지 관련 소비자 피해 80.7%

2014년 1월부터 10월까지 접수된 피해 404건을 분석한 결과, ‘계약해제·해지 거절’이 33.7%(136건)로 가장 많았고, ‘위약금 등 과다 공제’ 31.4%(127건), ‘계약해지 후 환급 지연’ 15.6%(63건), ‘미성년자 계약취소 거절‘ 7.2%(2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 

계약해지 관련 피해는 계약을 체결할 때 사업자가 ‘의무 이용기간’을 특약사항으로 계약서에 명시해놓고 소비자가 계약해지를 요청하면 이를 이유로 거절하거나, 이용료 할인 혜택을 제공한 후 해지 시에는 할인 전 정상가를 기준으로 환급금을 산정하는 사례가 많았다.

또한 판매방법의 확인이 가능한 359건 중 58.5%(210건)는 방문판매를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판매원들이 제공하는 이용료 할인 혜택이나 고가품 등의 영향으로 충동 계약을 체결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초·중·고생 피해가 51.0%

한편, 404건을 이용자별로 살펴본 결과, 초·중·고생 피해가 51.0%(206건)장 많았고, 일반인 28.2% (114건), 대학생 19.1%(77건)의 순이었다.

초·중·고생 피해(206건)의 경우도 ‘위약금 등 과다공제’, ‘계약해지 후 환급 지연’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87.4%(180건)에 달했다.

대학생의 경우 ‘계약해제·해지 거절’, ‘미성년자 계취소 거절’ 등의 피해가 많았는데, 주로 대학교 강의실에서 계약이 체결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대학생 지원과정 신청서’ 등을 작성한 후 대금 납부 독촉을 받고 뒤늦게 계약체결 실을 알게 돼 해지를 요청하면 청약철회기간(14일)이 경과했다는 이유로 거절당하는 경우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인터넷교육서비스 피해예방을 위해 ▲ 장기계약은 신중히 결정하고 ▲ 계약 시 해지 위약금 등을 반드시 확인하며 ▲ 무료로 제받은 사은품은 중도해지 시 비용이 청구되므로 불필요한 사은품은 가급적 거절하▲ 계약해지 시 사업자에게 내용증명 우편을 발송하여 의사 표시를 명확히 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01-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혼자 사시는 노인 누구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4 52
244 혼자서 술 마시는 ‘혼술’ 늘어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3 102
243 홀덤펍 등 사행게임 업소청소년 출입금지 지정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1 16
242 홀몸어르신 ´친구 수는 증가, 고독감·우울감은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115
241 홀인원보험 보험사기 혐의자 140명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9 82
240 홈 인테리어, 하자보수 미이행 불만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6 58
239 홈네트워크 기기 교체시 소비자 선택의 폭 넓어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76
238 홈쇼핑 6개 사에 과징금 143억 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97
237 홈쇼핑 등 방송채널사용사업자도 원산지 표시 관리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1 71
236 홈쇼핑.백화점 판매식품 및 다중이용시설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3 40
235 홈쇼핑사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근절방안 마련-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119
234 홈택스, 납세자 맞춤형 서비스로 새롭게 선보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8 17
233 홈택스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로 새단장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4 42
232 홈페이지 서비스 중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81
231 홈플러스 개인정보 불법매매 손해배상청구 소송제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7 117
Board Pagination Prev 1 ...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